05월 18일(일)

데이원컴퍼니, AI 시대 성인 학습 기준 새롭게 정립한다

데이원컴퍼니
데이원컴퍼니가 패스트캠퍼스를 통해 3년간 AI 교육 콘텐츠 매출 85억원, 2733% 성장을 달성했다. (사진 출처-데이원컴퍼니 제공)

데이원컴퍼니 가 실무 중심 AI 교육 콘텐츠 투자 전략의 성과를 본격적으로 확인했다.

데이원컴퍼니는 12일, 3년간 AI 교육 콘텐츠 누적 매출이 85억원을 기록하며 2733% 성장했다고 밝혔다.

이 같은 성과를 바탕으로 데이원컴퍼니는 “AI 시대에 성인 학습의 새로운 기준을 세우겠다”는 포부를 전했다.

데이원컴퍼니의 실무 교육 브랜드인 패스트캠퍼스는 2020년부터 AI 교육 콘텐츠 확보에 선제적으로 나서, 생성형 AI 열풍이 본격화되기 전부터 시장을 선도해 왔다.

2020년 5개에 불과하던 AI 강의는 2024년 현재 152개로 30배 이상 늘어났다. 이 중 95개 강의는 지난 1년 사이 추가된 것으로, AI 관련 수요 증가에 적극 대응한 결과다.

특히 데이원컴퍼니는 단순한 트렌드 대응을 넘어 실무 활용에 초점을 맞춘 AI 교육 콘텐츠를 강화해왔다.

2024년 패스트캠퍼스 홈페이지 방문자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45~54세 중장년층의 방문 비율이 25%로 가장 높았으며, 전체 방문자의 45%가 40대 이상이었다.

65세 이상 시니어층 비중도 5%를 기록해, AI 학습이 특정 세대에 국한되지 않고 전 세대 공통의 니즈로 자리잡고 있음을 입증했다.

패스트캠퍼스에서 높은 매출을 기록한 AI 강의 역시 실무 적용 중심의 과정들이었다.

‘테디노트의 랭체인을 활용한 GPT부터 로컬 모델까지의 RAG 가이드’ 강의는 누적 매출 60억원을 기록하며 전체 AI 강의 중 가장 높은 성과를 냈다.

이어 ‘ComfyUI를 활용한 이미지·영상·게임·광고 제작 강의’가 54억원, ‘ChatGPT 활용 바이블 강의’가 40억원의 매출을 각각 기록했다.

검색 키워드 분석에서도 실무형 AI 활용 트렌드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2024년 패스트캠퍼스 홈페이지 내 AI 관련 최다 검색 키워드는 이미지 생성 분야로, 미드저니(Midjourney)와 스테이블 디퓨전(Stable Diffusion)이 높은 관심을 받았다.

이어 생성형 AI, ChatGPT, 프롬프트 등 실용적인 키워드들이 상위권을 차지했다.

의료, 논문 등 전문 분야에서의 AI 접목 수요도 뚜렷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강민 데이원컴퍼니 대표는 “AI는 이제 선택이 아닌 모든 산업 분야의 필수 역량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번 조사 결과에서 특히 중장년층에서 확인된 높은 학습 의지가 이를 방증한다”고 언급했다.

이어 “앞으로도 기술 변화의 최전선에서 AI 시대의 성인 학습 기준을 새롭게 정립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데이원컴퍼니는 앞으로도 실무 중심의 AI 교육 콘텐츠를 확대하고, 성인 학습자들의 직무 경쟁력 강화를 지원할 계획이다.

다른기사보기

배동현 (grace8366@sabanamedia.com) 기사제보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