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정보 정책에 5838억…지하지도 고도화

국토교통부는 2025년 국가공간정보정책 시행계획을 수립하고, 총 5838억 원 규모의 공간정보 정책 사업 1209개를 올해 본격 추진한다고 2일 밝혔다.
최근 잇따르고 있는 싱크홀 사고에 대비해 지하공간통합지도의 고도화 작업도 주요 과제로 포함됐다.
올해 공간정보 정책은 디지털 트윈국토 실현을 목표로 한 제7차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2023~2027)의 실행 계획으로 마련됐으며, 정책의 연속성과 실행력을 확보하기 위해 수립됐다.
전체 예산 중 중앙정부는 104개 사업에 3819억 원, 지방자치단체는 1105개 사업에 2019억 원을 투입한다.
디지털 트윈국토 구축과 활용 기반 조성을 위한 분야에는 3993억 원이 투입된다.
이 사업을 통해 공간정보 데이터 구축, 표준 정비, 융복합 활용 체계 마련 등 디지털 트윈 확산을 위한 기반 조성이 이뤄진다.
플랫폼 고도화 및 유지 관리를 위한 유통·활용 분야에는 1095억 원이 집행되며, 고정밀 공간정보의 수집과 공유, 접근성 강화가 이뤄질 예정이다.
산업 활성화와 제도 개선을 위한 사업에도 750억 원이 배정돼 기술 개발과 보안 규제 정비 등이 추진된다.
특히 올해 계획에는 지하공간통합지도의 고도화가 포함돼 있다.
정부는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싱크홀 사고에 대응하기 위해 지반 침하 이력, 공동정보, 건설공사 정보, 홍수 이력 등을 지하공간통합지도에 연계하고, 지반 침하 위험 요소 간의 상관관계 분석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개선할 예정이다.
정확도 향상을 위해 상하수도 시설물 실측에 필요한 예산도 추가 지원된다.
디지털 트윈국토 플랫폼의 2단계 고도화도 올해 중점 추진된다.
인공지능, 클라우드 네이티브, 양자암호통신 등 첨단 기술을 반영해 대용량 3차원 공간정보 수요에 대응하고, 활용 범위를 확대하는 것이 목표다.
이 가운데 ‘Geo-AI’ 기술 도입이 핵심이다. Geo-AI는 공간정보와 관련된 데이터를 학습한 인공지능으로, 사용자의 질문을 이해하고 지도 기반 응답을 제공하는 기능을 갖춘 차세대 공간정보 서비스로 주목받고 있다.
국토교통부 박상우 장관은 “공간정보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인프라로, 로봇·도심항공교통(UAM) 등이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고정밀 3차원 공간정보가 먼저 구축돼야 한다”며 “디지털 트윈국토 등 공간정보 정책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와 지원을 통해 국민들이 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정부와 민간이 함께 힘을 모으겠다”고 말했다.
배동현 (grace8366@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