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공공분야 AI 확산 가속…2025년 신규 과제 착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가 정부 부처와 협력해 공공분야 인공지능(AI) 확산을 본격 추진한다.
과기정통부는 2025년 신규 ‘부처협업 기반 AI 확산 사업’의 10개 과제를 선정하고, 이를 수행할 기업을 공모한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공공부문에 AI 서비스를 적용해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혁신적인 서비스를 개발하는 것이 목표다.
‘부처협업 기반 AI 확산 사업’은 각 부처에서 공공 AI 활용 과제를 공모한 뒤, 혁신성과 국민 체감 효과가 높은 과제를 선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선정된 과제는 소관 부처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의 협업을 거쳐 구체화되며, 수행기업을 모집한 후 본격적인 개발과 실증 단계에 들어간다.
소관 부처는 AI 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공공 데이터를 제공하고, 기업은 AI 모델을 개발해 실증과 현장 도입을 추진한다.
과기정통부는 2022년부터 해당 사업을 통해 총 17개의 과제를 진행했으며, 일부는 시범 적용을 거쳐 현장 도입이 추진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AI를 활용해 소나무재선충을 자동 판독·분석하는 ‘산림해충 방제지원 서비스’는 지난해 남부지방산림청에서 시범 적용됐으며, 추가 도입을 위해 협의가 진행 중이다.
또한, AI가 동영상을 분석해 맞춤형 훈련을 제공하는 ‘국가대표 AI 코칭 솔루션’은 2024년 파리 패럴림픽 배드민턴 종목에 시범 적용됐다.
이를 통해 경기 영상 분석 시간이 기존 8시간에서 2시간으로 4배 단축되는 성과를 거뒀으며, 향후 장애인 국가대표 경기 전반으로 확대 적용될 예정이다.
2025년 신규 과제 공모에는 26개 기관이 71개의 과제를 제출했으며, 전문가 평가를 거쳐 10개 과제가 최종 선정됐다.
해당 과제들은 3월 18일부터 4월 18일까지 약 30일간 수행기업을 공모한 후, 선정된 기업에 대해 AI 서비스 개발과 현장 실증을 지원할 계획이다.
선정된 기업들은 연간 9억 원 규모의 지원을 받으며, 2년 동안 사업을 수행하게 된다.
과기정통부 김경만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은 “AI가 국가 전반을 혁신하는 대전환 시대에 접어든 만큼, 공공부문의 선도적인 AI 활용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이어 “앞으로도 관계 부처와 긴밀히 협력해 혁신적인 공공 AI 서비스를 발굴하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창출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배동현 (grace8366@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