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월 04일(금)

교통카드 빅데이터 민간 개방

교통카드 빅데이터
(사진 출처-Freefik)

앞으로 교통카드 이용 정보를 민간 기업과 연구기관도 자유롭게 분석하고 연구개발(R&D)에 활용할 수 있게 됐다. 국토교통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은 1일 교통카드 빅데이터 를 민간에 개방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교통카드 빅데이터 는 대중교통 이용자의 승·하차 시간, 장소, 이동 경로 등 통행 패턴이 포함된 정보로, 하루 약 2300만 건이 수집된다. 2018년부터 현재까지 누적된 데이터는 총 110TB에 이른다.

그동안은 개인정보 보호를 이유로 수단별 통행량이나 정류장별 이용현황 등으로만 가공된 형태로 민간에 제공돼 왔다.

그러나 국토부는 지난해 10월 모빌리티 규제샌드박스 실증특례를 승인하며, 민간도 원시 데이터에 기반한 분석이 가능하도록 길을 열었다.

이에 따라 한국교통안전공단과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은 데이터안심구역을 통해 교통카드 빅데이터를 본격 개방한다.

데이터안심구역은 데이터산업법에 따라 지정된 공간으로, 인터넷이 차단된 보안 환경에서 데이터 분석이 가능하며, 사전 승인된 이용자만 분석 결과를 반출할 수 있다.

민간은 이곳에서 암호화된 교통카드 데이터를 활용해 독자적인 분석, 모델 개발, 수요 기반 서비스 기획 등이 가능하다.

이번 조치는 대중교통 수요 분석, 수요응답형 교통(DRT) 설계, 공유 모빌리티 최적 배치 등 다양한 서비스 혁신의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예컨대, 특정 노선의 시간대별 이용자 밀집 현황을 분석해 전동킥보드나 자전거와 같은 라스트마일 모빌리티와 연계하거나, 배차 간격 최적화 등에도 활용할 수 있다.

교통카드 데이터는 특히 사람의 실제 이동경로를 추적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 데이터로, 실시간 흐름 기반 도시 계획 및 교통정책 수립에도 중요한 자원으로 평가된다.

엄정희 국토부 교통물류실장은 “그동안은 공급자 중심의 지표만 제공돼 민간의 분석 수요를 충족하지 못한 측면이 있었다”며 “이번 개방으로 대중교통 이용자 중심의 데이터 분석이 가능해지면서 다양한 신규 교통 서비스 개발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교통카드 데이터 개방은 오는 2026년 12월까지 데이터안심구역에서 운영되며, 이용자 만족도와 활용 사례 등을 기반으로 필요 시 대중교통법 개정도 추진될 수 있다.

분석을 희망하는 개인이나 단체는 데이터안심구역 신청포털 내 전용 페이지에서 회원가입 후 신청서를 작성해 승인을 받으면 이용할 수 있다.

다른기사보기

배동현 (grace8366@sabanamedia.com) 기사제보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