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월 09일(금)

금감원, 스맥 유상증자 제동…이수페타시스 사례 재현되나

스맥
금융감독원이 스맥의 유상증자에 제동을 걸면서 현대위아 공작기계 사업부문 인수에 차질이 예상된다. (사진 출처-스맥 제공)

금융감독원이 스맥(099440)의 유상증자에 대해 정정신고서를 요구하면서 현대위아 공작기계 사업부문 인수 일정에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스맥은 이번 유상증자를 통해 현대위아 공작기계 사업부문을 인수할 계획이었지만, 금융당국의 제동으로 일정 조정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18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금감원은 전날인 17일, 스맥이 제출한 유상증자 증권신고서에 대해 정정을 요구했다.

스맥은 지난 3일 발행주식 총수의 69.58%에 달하는 2800만 주의 신주를 발행해 약 538억 원을 조달하고, 전액을 현대위아 공작기계 인수에 사용할 계획이었다.

금감원이 제기한 핵심 쟁점은 대규모 신주 발행에 따른 기존 주주의 권익 희석과 자금 사용 목적의 불명확성이다.

업계 관계자는 “금감원이 정정신고서를 요구한 것은 대규모 신주 발행에 따른 기존 주주 권익 침해 우려와 인수 타당성에 대한 충분한 설명이 부족했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현재 스맥은 릴슨프라이빗에쿼티(PE)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약 3400억 원 규모로 추산되는 현대위아 공작기계 사업부문 인수를 추진 중이다.

스맥의 시가총액(약 1200억 원)과 인수 자금(1183억 원)이 비슷한 수준인 만큼, 유상증자 성공 여부는 인수 성사의 핵심 요소다.

스맥 최대주주인 최영섭 대표의 지분율은 8.78%에 불과해, 유상증자의 성공을 위해서는 소액주주의 참여가 필수적이다.

다만 증시 여건이 악화된 상황에서 수요가 부진할 경우 주관사인 한국투자증권이 잔여 물량을 인수해야 하는 부담도 존재한다.

인수 측은 아직까지는 낙관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인수 관계자는 “최근 유상증자 신고서를 내면 1~2회 정도 정정을 하게 된다”며 “일부 보완을 하면 문제없이 증자를 추진할 수 있다”고 말했다. 계약 기한도 올해 하반기까지로 시간적 여유는 있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업계 일각에서는 지난해 제이오 인수를 추진했던 이수페타시스의 사례처럼 인수 불발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이수페타시스는 금감원의 제동으로 유상증자 계획을 철회했고, 결국 제이오 인수를 무산시킨 바 있다.

당시 이수페타시스는 유상증자 금액을 절반 이하로 줄였지만 거래는 성사되지 못했고, 양측은 현재 소송 중이다.

이번 정정 요구가 단순 절차인지, 실질적인 구조 조정 요구인지를 두고 시장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

스맥이 유상증자를 원활히 추진하지 못할 경우, 현대위아 인수 추진은 물론 기업 전략에도 큰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다른기사보기

배동현 (grace8366@sabanamedia.com) 기사제보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