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구조 위치정보 정확도 개선…통신 3사 전반적 향상

방송통신위원회는 28일 발표한 ‘2024년 긴급구조 위치정보 품질측정 결과’를 통해 이동통신 3사(SK텔레콤, KT, LG유플러스)의 긴급구조 위치정보 정확도와 응답시간이 전년 대비 뚜렷하게 향상됐다고 밝혔다.
이번 품질 측정은 지난해 7월부터 11월까지, 각 통신사가 제공하는 기지국·GPS·Wi-Fi 방식의 긴급 위치정보 제공 성능을 평가한 것으로, 실제 긴급상황을 가정해 단말기 위치설정을 일시적으로 활성화하고 정보 제공 여부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측정 결과 기지국 방식의 위치정확도는 전년 52.3m에서 25.0m로 절반 이상 개선됐고, 응답시간도 3.0초에서 1.4초로 단축됐다.
Wi-Fi 방식은 위치기준 충족률이 96.8%에서 98.9%로, 위치정확도는 20.1m에서 18.7m로 좋아졌으며, 응답시간 역시 4.2초에서 2.4초로 줄었다.
GPS 방식의 정확도는 11.3m에서 12.7m로 다소 저하됐으나, 위치기준 충족률(99.0%)과 응답시간(1.7초)은 각각 개선됐다.
이동통신사별로 보면 GPS 방식의 위치기준 충족률은 SK텔레콤이 99.8%로 가장 높았고, Wi-Fi 방식에서도 SK텔레콤이 99.5%로 1위를 기록했다.
위치정확도에서는 GPS 기준 SK텔레콤이 8.6m로 가장 정확했고, 기지국 방식은 KT가 22.3m로 앞섰다.
Wi-Fi 방식 정확도 역시 SK텔레콤이 14.5m로 가장 우수했다.
위치 응답시간은 기지국 기준으로 KT가 1.0초로 가장 빠르게 응답했으며, GPS와 Wi-Fi 방식 모두에서 KT가 각각 1.5초와 1.6초로 최단시간을 기록했다.
이번 측정은 외국산 및 자급제 단말기, 유심 이동 단말기 등 85종에 대한 측정도 포함했다.
애플과 샤오미 등 외산 단말기는 여전히 기지국 기반 위치정보만 제공하고 Wi-Fi 정보는 제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샤오미는 일부 조건에서 GPS 기반 위치정보 제공이 가능해졌고, 애플은 긴급통화 중 또는 종료 후 일정 시간 동안 자체 계산한 GPS·Wi-Fi 기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이번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긴급구조기관, 이동통신사, 제조사와의 협력을 통해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한 신속한 위치 파악 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배동현 (grace8366@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