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하이퍼클로바X 추론 모델 상반기 공개 예고

네이버클라우드가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 ‘하이퍼클로바X(HyperCLOVA X)’를 앞세워 AI 생태계 확장에 본격적으로 속도를 낸다.
네이버는 하이퍼클로바X 추론 모델을 상반기 중 공개하고, 네이버 전반의 서비스에 AI를 고도화하는 ‘온 서비스 AI’ 전략을 추진하며 국내 AI 시장 공략을 강화하고 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지난 23일 서울 강남구 네이버 스퀘어 역삼점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하이퍼클로바X 생태계 확장 전략을 소개했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네이버의 온 서비스 AI 전략이 가속하면서 서비스에 안정적, 비용 효율적 적용이 가능한 경쟁력 있는 특화 모델들을 생산하고 있다”며 “상반기 중 추론 모델을 선보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하이퍼클로바X 추론 모델은 수학과 프로그래밍 등 고도화된 전문 역량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기존 AI 모델은 사용자가 직접 어떤 도구를 활용할지 지정해야 했지만, 하이퍼클로바X 추론 모델은 필요한 도구를 스스로 선택해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갖춘다.
이를 통해 복잡한 업무 자동화와 다양한 API 연동이 가능해지며, AI가 스스로 사고하고 실행하는 기능을 강화한다.
네이버는 이러한 AI 역량을 서비스 전반에 도입하는 ‘온 서비스 AI’ 전략을 적극 추진 중이다.
상품 구매, 업무 자동화, 스마트홈 제어 등 다양한 기능과 결합해 AI 활용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주도 서귀포 쪽에 아이들하고 갈 만한 관광지 어디 있을까? 후기 좋은 숙소도 예약해 줘”라고 입력하면, 하이퍼클로바X 추론 모델은 검색과 예약 API를 스스로 호출해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다.
이날 네이버클라우드는 경량 모델 ‘하이퍼클로바X 시드’ 3종도 함께 공개했다.
네이버는 하이퍼클로바X 기반으로 이미지, 영상, 음성까지 아우르는 멀티모달 모델, 저비용 경량 모델, 고성능 추론 모델을 중심으로 AI 기술 고도화와 생태계 확장을 이어갈 계획이다. 이를 네이버 자체 서비스 적용, 기업용 솔루션 개발, 오픈소스 공유 등을 통해 실현하겠다는 방침이다.
김유원 대표는 “최근 전 세계적인 관심을 받는 ‘소버린(주권) AI’는 단일 기업의 노력만으로는 달성하기 어렵고, 국가적 차원의 총체적 역량이 요구되는 일종의 체력전”이라며 “이 과정에서 기술 확보에 그치지 않고 일상에 밀착한 혁신적인 AI 서비스가 나올 수 있도록 탄탄한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 핵심적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AI 저변 확대를 위한 이러한 노력이 국내 소버린 AI 생태계의 체력을 더욱 단단히 하는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배동현 (grace8366@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