뤼튼, 생활형 AI ‘뤼튼 3.0’ 공개

“대한민국 5000만 국민 한 명 한 명의 삶 속에 밀착된 생활형 AI로 진화해 나가겠습니다”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업 뤼튼테크놀로지스(이하 뤼튼)가 AI 대중화를 위한 차세대 플랫폼 ‘뤼튼 3.0’ 을 전격 공개했다.
기존의 업무 생산성 중심 AI에서 벗어나, 누구나 쉽고 재밌게 사용할 수 있는 ‘생활형 AI’로 전환하겠다는 비전을 담았다.
뤼튼은 이를 통해 개인화된 AI 조력자와 수익형 서비스로 AI의 일상화를 가속화할 계획이다.
뤼튼은 8일 서울 포시즌스 호텔에서 ‘뤼튼 프레스 컨퍼런스 2025’를 열고, 뤼튼 3.0 의 주요 기능과 기술, 비전을 소개했다.
이세영 대표는 “뤼튼의 모든 기술과 서비스는 대중들이 AI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활용하며 더 나은 삶을 누리도록 도우려 존재한다”며 “2025년 한 해 동안 월간 활성 이용자 1000만명을 돌파하고, 대한민국 5000만 국민 한 명 한 명의 삶 속에 밀착된 생활형 AI로 진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주목받은 기능은 ‘AI 서포터’다. 이는 기존의 단순 에이전트에서 진화해 사용자 맞춤형 외형, 말투, 기억, 정서적 교류가 가능한 감성형 AI로 정의된다.
제성원 컴패니언 파트장은 “전 국민 1인 1AI 시대를 열고, 장기적으로는 1인 1LLM 시대로 확장하겠다”고 밝혔다.
기술적 진보도 동반된다. 박민준 파트장은 사용자 의도 파악, 검색 DB 현지화, 모델 조합 최적화 등으로 AI 응답 만족도를 35% 이상 향상시켰다고 소개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더욱 정교하게 개인화된 경험을 제공받을 수 있다.
뤼튼은 AI 수익화 모델도 함께 선보였다. ‘혜택’ 기능을 통해 AI 이용 중 다양한 미션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포인트(캐시)를 적립해 계좌나 체크카드, 커머스 연동 등에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공혜진 Ad 비즈 파트장은 무료 AI에서 나아가 이용자에게 돈이 되는 AI로 확장한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서는 AI 프레임워크 ‘에이젠티카(Agentica)’와 프론트·UI 자동화 개발도구 ‘오토뷰(AutoView)’의 티저 영상도 공개됐다.
이들 도구는 오픈소스로 제공될 예정이며, 뤼튼은 이를 통해 AI 개발 대중화 시대까지 주도하겠다는 방침이다.
뤼튼은 이번 발표를 통해 생활 밀착형 AI를 통해 대중과 더욱 가까워지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생성형 AI의 한계를 넘어서, 실생활 속 감성·개인화·경제성까지 갖춘 ‘생활형 AI’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린 것이다.
배동현 (grace8366@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