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벨리온, 스탠다드에너지와 AI 전력 문제 해법 모색

AI 인프라의 폭증하는 전력 수요와 효율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내 스타트업들이 손을 잡았다.
AI 반도체 기업 리벨리온 과 에너지저장장치(ESS) 전문 기업 스탠다드에너지가 AI 데이터센터에 최적화된 차세대 전력 인프라 솔루션 공동개발에 나선 것이다.
리벨리온 은 18일, 스탠다드에너지와 함께 ‘AI 데이터센터용 에너지 솔루션의 공동개발 및 사업화’를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글로벌 AI 인프라 시장에서 전력 효율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하기 위한 기술 연합의 일환이다.
양사는 리벨리온의 고효율 저전력 AI 반도체 ‘아톰(ATOM)’과 스탠다드에너지의 바나듐 이온 배터리(VIB) 기반 ESS를 융합해, AI 데이터센터용 전력보조 시스템을 공동 개발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실시간 AI 추론에 특화된 NPU 서버랙과 ESS 간 연동을 통해 안정성과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는 구조다.
특히 VIB는 화재 위험이 없고 고출력 장시간 운용이 가능해 AI 전력 인프라에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스탠다드에너지는 이미 해외 AI 기업들과의 ESS 공급 협의를 진행 중이며, 리벨리온과의 협업을 통해 AI 인프라 분야의 핵심 기술력을 국내외 시장에 확대할 방침이다.
양사는 실증 및 전력 시스템 표준 마련은 물론, 공동 브랜드 런칭 및 글로벌 진출까지 협력 범위를 넓힐 예정이다.
이번 협업은 단순한 기술 연합을 넘어, AI 데이터센터의 지속가능성과 국가 AI 주권인 ‘소버린 AI’ 실현에도 초점이 맞춰졌다.
AI 산업 확산에 따라 증가하는 전력 수요는 국가 인프라 차원의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저전력·고효율 시스템 확보는 글로벌 AI 산업 경쟁력의 핵심 요소로 떠오르고 있다.
리벨리온의 박성현 대표는 “글로벌 AI 전력 인프라 업계에서 가장 주목하는 과제는 전력 효율성”이라며 “국가 AI 전력 인프라 경쟁력 강화는 소버린 AI의 핵심 과제인만큼, 스탠다드에너지와 지속가능하고 효율적인 AI 데이터센터 전력 모델을 확보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스탠다드에너지의 김부기 대표는 “AI 기술의 눈부신 발전에도 불구하고 AI 시대가 본격화하지 않는 것은 에너지 절약이 필요한 기후위기 상황에서 어떻게 AI 산업에 충분하고 안정적인 친환경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가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이번 협력은 에너지 절감을 깊이 연구해 온 우리나라 스타트업 간의 협력을 통해 글로벌 AI 산업의 근본적인 문제에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시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AI 전력 인프라의 미래가 국가 기술 주권과 직결되는 상황에서, 이번 리벨리온과 스탠다드에너지의 협력이 어떤 글로벌 성과로 이어질지 귀추가 주목된다.
배동현 (grace8366@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