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른 오징어, 고단백 간식일까? 발암물질·나트륨 주의

불에 구워 먹는 마른 오징어는 특유의 향과 쫄깃한 식감으로 간식이나 맥주 안주로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고단백 저지방 식품이라는 이미지 덕분에 건강한 간식으로 각광 받아왔다. 그러나 마른 오징어 섭취에 대해 경각심을 가져야 할 지점도 분명히 존재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마른오징어는 단백질 함량이 높고 지방 함량이 매우 낮다.
100g 기준 단백질 70g, 지방은 1~2g 수준에 불과하다. 심지어 포화지방과 탄수화물 비중도 적어 심혈관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항산화 성분 셀레늄을 포함하고 있어 유해산소 제거에 도움을 주며, 타우린과 비타민 E, DHA, EPA도 풍부해 뇌 건강과 심장 건강에 유익한 식품으로 평가돼왔다.
철분이 풍부해 빈혈 예방에도 긍정적이며, 운동 후 근육 회복에도 효과적인 단백질 공급원으로 자주 언급된다.
이런 점에서 마른 오징어는 단순한 안주가 아닌 ‘기능성 간식’으로 주목받아 왔다.
하지만 이런 인식과 달리 마른 오징어에는 건강에 위협이 될 수 있는 요소도 많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고온에서 반복적으로 구울 경우 벤조피렌과 같은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가 생성될 수 있다.
실제로 오징어를 직화로 구워 겉 면이 검게 그을리는 경우 발암물질이 생길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나와 있다.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는 벤조피렌을 1군 발암물질로 분류하고 있으며, 섭씨 300도 이상의 고온 조리에서 생성 가능성이 높아진다.
숯불이나 직화로 조리한 마른 오징어는 이 기준에 쉽게 도달할 수 있다.
나트륨 함량 역시 무시할 수 없다.
마른 오징어는 건조 과정에서 수분이 빠지며 염분이 농축되는데, 한 마리당 나트륨 함량은 약 800mg으로, 이는 성인 하루 권장 섭취량의 약 40%에 해당한다.
나트륨 과잉 섭취는 고혈압, 위염, 심장병, 만성신부전 등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마른 오징어는 생오징어보다 콜레스테롤 함량이 높아 한 마리에 약 230mg이 들어 있다.
이는 하루 권장 섭취량의 75% 수준으로, 고지혈증이나 심혈관 질환을 가진 사람이라면 특히 주의해야 한다.
건강하게 즐기기 위해서는 조리법에 신경 써야 한다. 직화나 숯불보다는 물에 불린 뒤 잘게 찢어 샐러드에 곁들이거나 조림 형태로 섭취하는 것이 좋다.
고혈압, 신장 기능 저하, 소화기 약화, 해산물 알레르기 등의 기저 질환이 있는 사람은 마른 오징어 섭취를 피하는 것이 안전하다.
다른 기사보기
전수인(su2nee@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