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월 23일(금)

메타AI 독립 앱 출시…개인 비서 시장 본격 진입

메타AI
메타AI 독립 앱 화면을 통해 개인화된 챗봇 서비스를 시연하고 있는 모습. (사진 출처-메타 제공)

메타플랫폼이 독립형 인공지능(AI) 비서 앱 ‘메타AI’ 를 공식 출시했다.

오픈AI의 챗GPT, 구글의 제미니, 앤스로픽의 클로드 등과 직접 경쟁하는 개인화 AI 비서 시장에서 메타의 존재감을 강화하기 위한 포석이다.

29일(현지시간) 메타는 라마(LLaMA) 대규모 언어모델(LLM)을 기반으로 한 독립형 AI 비서 애플리케이션 ‘메타AI’ 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출시로 사용자는 인스타그램이나 왓츠앱 같은 소셜미디어(SNS)에 접속하지 않고도 메타AI를 별도 앱을 통해 직접 이용할 수 있다.

메타AI는 사용자의 다양한 프롬프트에 반응하고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개인 맞춤형 음성 기반 대화를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디스커버(Discover)’ 기능을 통해 다른 이용자들의 활용 사례를 제공하며 사용자 경험을 확장하고 있다.

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는 “메타AI는 여러분의 개인 AI가 되도록 설계됐다”며 “이는 음성 대화를 중심으로 설계됐다는 뜻”이라고 밝혔다.

그는 “여러분이 원한다면 앱을 통해 메타AI에게 자신과 소중한 사람들에 대한 많은 정보를 공유할 수 있을 것”이라며 맞춤형 AI 비서로서의 진화를 강조했다.

이번 독립 앱 출시는 기존 SNS 내 챗봇 기능을 넘어서 개인화된 독립 서비스를 지향하는 흐름 속에서 이루어졌다.

메타는 앞서 2023년 9월부터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왓츠앱 등 자사 SNS에 AI 기능을 탑재했으며, 이달부터는 이들 SNS의 기존 검색 기능을 메타AI로 대체해 사용자 접근성을 높였다.

AI 챗봇 시장은 현재 오픈AI의 챗GPT, 구글 제미니, xAI의 그록 등 주요 빅테크 기업이 각축을 벌이고 있는 분야다.

이에 따라 메타 역시 맞춤형 비서 서비스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기술적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저커버그는 지난 1월 “2025년은 고도화된 맞춤형 AI 비서가 10억명 이상의 사용자에게 도달하는 해가 될 것이며 메타AI가 그 선두주자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힌 바 있다.

메타AI는 1월 기준 월간활성사용자(MAU) 수가 7억명에 도달해 전월 대비 큰 폭으로 증가했다.

메타는 올해 AI에 650억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며, 이날 AI 개발자 컨퍼런스인 ‘라마콘(LlamaCon)’을 열고 중장기 AI 전략을 공개한다.

30일 예정된 1분기 실적 발표에서는 이러한 대규모 투자에 따른 수익성 변화가 주요 관전 포인트로 떠오르고 있다.

다른기사보기

배동현 (grace8366@sabanamedia.com) 기사제보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