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항·지하철역 무료 충전기 사용 시 개인정보 유출 위험 경고

공항이나 지하철역을 비롯한 공공장소에 설치된 무료 USB 충전 포트를 이용할 경우 해킹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최근 미국 교통안전청(TSA)은 공식 SNS를 통해 “공항에서 휴대전화를 USB 포트에 직접 연결하지 말라”고 당부하며, 해커들이 USB 포트에 악성코드를 심어 놓는 사례가 늘고 있다는 우려를 표명했다.
TSA는 해커들이 USB 포트를 통해 스마트폰을 감염시키는 수법을 ‘주스 재킹'(Juice Jacking)이라고 부르며, 이는 공공장소에서 매우 중요한 보안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주스 재킹 범죄는 공공장소에 설치된 USB 충전 포트에 스마트폰을 연결하는 순간, 악성코드가 자동으로 스마트폰에 침투하는 방식이다.
해커들은 감염된 스마트폰에 접근해 사용자의 사진, 연락처, 금융 애플리케이션 등 민감한 개인정보를 탈취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는 해킹의 징후를 알아차리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악성코드는 스마트폰에 몰래 설치되어, 몇 년 동안 사용자에게 이상 징후를 제공하지 않기도 한다.
이로 인해 피해자는 오랜 시간 동안 해킹 피해를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
TSA는 이러한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공공장소에서 제공되는 무료 USB 충전 포트 대신, 휴대용 보조 배터리나 신뢰할 수 있는 브랜드의 플러그형 충전기를 사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TSA의 경고는 스마트폰을 충전할 때 보안을 강화하는 매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공공장소에서 스마트폰 충전 시 보다 신중한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미국 연방수사국(FBI)은 최근 공식 SNS를 통해 공공장소에 설치된 무료 충전기를
가급적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경고했다.
FBI는 공공 충전기가 해킹에 취약할 수 있음을 강조하며, 사용자들이 이러한 충전기를
사용할 때 더 큰 위험에 처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공항이나 쇼핑몰 등에서 제공되는 무료 충전 포트는 편리하지만, 보안상 취약점이 존재해 해커들이 이를 악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용자의 주의가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TSA는 공공 와이파이 사용에 대해서도 경고를 내렸다.
TSA는 “공공 와이파이 사용 중에는 절대 온라인 쇼핑을 하거나 민감한 개인정보를 입력하지 말라”고 강조하며, 공공 와이파이를 이용할 때의 위험성을 지적했다.
공공 와이파이는 데이터 암호화가 되어 있지 않아, 해커들이 사용자 정보를 쉽게 가로챌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위험하다.
TSA는 공공 와이파이를 사용할 때 중요한 금융 정보나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미국의 보안업체 노턴(Norton)은 뉴욕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공공 와이파이는 데이터를 암호화하지 않아서 해커가 쉽게 은행 정보나 로그인 기록 등을 가로챌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는 공공 와이파이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무심코 개인정보를 입력하거나 중요한 거래를 진행할 경우, 해킹에 노출될 수 있음을 경고하는 중요한 지침이다.
특히, 암호화되지 않은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통해 보내지는 모든 데이터는 해커의 공격 대상이 될 수 있어, 보안에 매우 취약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공공장소에서 스마트폰을 충전하거나 와이파이를 사용할 때는 더욱 신중해야
한다.
공공 충전 포트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들은 데이터 전송이 차단되는 설정을 활성화하거나, 데이터 전송을 허용하지 않는 충전 전용 포트를 사용해야 한다.
또한, 개인적인 금융 거래나 민감한 개인정보를 입력할 때는 공공 와이파이 연결을
피하고, 개인용 모바일 데이터를 이용하는 것이 더 안전하다.
TSA와 FBI는 이러한 보안 경고를 통해, 공공장소에서 제공되는 편리한 서비스가 보안상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음을 알리고 있다.
해커들은 공공 와이파이나 USB 충전 포트를 통해 사용자의 정보를 몰래 탈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경계가 필요하다.
사용자들은 자신의 스마트폰과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공공장소에서 제공되는 무료 서비스의 위험성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한다.
이소율 (lsy@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