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월 15일(화)

배달앱 수수료 부담↑…음식점 사장님들, 가격 인상 불가피

배달의민족
(사진출처-나무위키)

국내 외식업 자영업자들이 경영에서 가장 큰 부담 요인으로 배달앱 수수료를 꼽았으며, 이로 인해 절반 가까운 점주가 메뉴 가격을 인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주들은 배달앱의 높은 수수료 구조에 대응하기 위해 가격 조정 외에도 오프라인과 온라인 메뉴 가격을 다르게 설정하는 등의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소비자공익네트워크가 전국 외식업 자영업자 502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 조사 결과, 배달앱 수수료가 사업 운영에서 가장 큰 부담으로 작용하는 요인으로 지목됐다.

조사에서 배달앱 수수료는 7점 만점에 평균 5.68점으로 가장 높은 부담도를 기록했다.

이어 세금(5.46점), 식재료비(5.41점), 공과금(5.38점), 인건비(5.34점), 임차료(5.30점) 순으로 부담이 큰 요소로 나타났다.

특히, 카페·베이커리·디저트 업계에서는 배달앱 수수료 부담이 더욱 심각한 수준으로, 해당 업종 점주들은 평균 6.07점의 높은 부담도를 보였다.

이는 배달 비중이 높은 업종일수록 수수료의 압박이 크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 같은 부담으로 인해 외식업 자영업자의 47.6%는 메뉴 가격을 인상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또 34.8%는 배달앱에서의 판매 가격을 오프라인 매장보다 높게 책정하는 ‘이중 가격제’를 도입했다고 답했다.

이는 배달 주문 시 발생하는 수수료를 소비자 가격에 반영해 일정 부분을 전가하는 방식이다.

업종별로 보면, 수도권 개인 카페·베이커리 업주들의 가격 인상 사례가 가장 많았고, 중화요리점을 비롯한 일부 업종에서는 배달앱과 매장 가격을 차등 적용하는 비율이 높았다.

평균적으로 점주들이 배달 주문에 적용한 가격 인상폭은 1,858원이었다. 이중 가격을 도입한 업소들의 경우, 배달 메뉴의 평균 가격 인상폭은 2,114원에 달했다.

오는 26일부터 시행되는 ‘차등 요금제’가 배달앱 수수료 부담을 완화할 것이라고 보는 점주는 전체 응답자의 26%에 불과했다.

차등 요금제는 배달 매출 비중이 높은 사업장일수록 수수료를 많이 부과하는 방식으로, 업주들의 부담을 경감할 것이라는 기대가 있었으나, 현실적으로 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반응이 나온 것이다.

또한, 정부와 지자체가 운영하는 ‘공공배달앱’ 활성화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린 점주는 44.4%로 조사됐다.

이는 높은 배달앱 수수료에 대한 불만이 상당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다만, 공공배달앱이 아직까지 민간 배달앱만큼의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어 실질적인 대안이 되기에는 부족하다는 의견도 있다.

배달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외식업계의 비용 부담이 커지는 가운데, 업주들은 자구책으로 가격 인상과 가격 차등 정책을 활용하고 있지만, 소비자들의 부담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도 나온다.

업주와 소비자 간의 이해관계가 맞물려 있는 배달앱 수수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업계와 정책 당국의 추가적인 논의와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다른기사보기

이소율 (lsy@sabanamedia.com) 기사제보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