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기 커버 열고 물 내리면 얼굴까지 비말 튄다

변기 커버를 열고 물을 내릴 경우 비말이 최대 92㎝까지 튀어 오르며 주변 환경에 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공중화장실에서의 위생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는 경고다.
유한킴벌리는 2일 국민대학교와 공동 진행한 ‘화장실 변기 물 내림에 의한 비산 물질의 오염 특성 연구’에서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산업공공 위생 솔루션 차원에서 안전한 화장실 사용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산학 협력의 일환이다.
연구진은 레이저를 활용한 실험에서 변기 커버를 열고 물을 내릴 경우 비말이 최대 92㎝까지 상승하며 약 1분간 대기 중에 머무는 것을 관찰했다.
이 비말은 화장지 용기, 벽면, 바닥 등 주변 공간으로 퍼지며 위생 위협을 야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하단이 개방된 화장지 용기나 늘어진 화장지의 경우, 비말에 직접 노출되며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교차 오염 가능성이 높아진다.
커버를 닫고 물을 내려도 변기 시트 주변 환경에 오염이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돼 보다 철저한 위생 관리가 요구된다.
연구를 이끈 국민대학교 김형진 교수는 “비말이 공기 중 미생물이나 바이러스와 접촉하면 교차 감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며 “위생 관리 측면에서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연구진은 변기 시트 사용 전 시트 크리너로 닦는 습관을 권장하며, 화장지는 외부 노출이 최소화된 밀폐형 용기를 사용할 것을 권고했다. 비말 확산을 차단하고, 공중화장실 이용자들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이다.
유한킴벌리는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밀폐 용기 방식의 화장지 보급과 변기 시트 크리너 제품의 확대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회사 관계자는 “물 내림 시 비말의 확산과 오염 영향을 확인한 만큼 밀폐 용기 방식의 화장지와 오염물을 제거할 수 있는 변기시트 크리너 등 솔루션을 적극 보급하려고 한다”며 “위생적인 공중화장실 환경 조성과 소비자 인식과 사용 패턴 개선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배동현 (grace8366@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