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 위협 48% 증가…KISA, 중소기업 보안 강화 촉구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2024년 하반기 사이버 위협 동향을 분석한 결과를 2025년 1월 24일 발표하며, 국민과 기업의 안전한 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 강화를 촉구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2년간 사이버 침해사고 신고 건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2023년 1,277건에서 2024년 1,887건으로 약 48% 급증했다.
특히 서버 해킹(553건)과 정보 유출, 스팸 문자 및 메일 발송 등을 포함한 기타 유형(180건)에서 피해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랜섬웨어 감염은 2024년 195건으로 전년 대비 약 24% 감소했지만, 전체 피해의 94%가 보안 대응에 취약한 중소기업에서 발생해 보안 강화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됐다.
KISA는 보안 투자 여력이 부족한 중소기업들이 상대적으로 큰 피해를 입고 있으며, 이에 대한 지원 대책이 시급하다고 분석했다.
업종별 피해 현황을 살펴보면, 정보통신 분야가 601건으로 가장 많은 피해를 기록했으며,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은 121건으로, 전년 대비 약 66% 증가해 보안 취약성이 드러났다.
이번 보고서에는 변화하는 국내외 보안 정책과 기술적 대응 방안도 포함됐다.
특히, 미 트럼프 정부의 AI 규제 완화 가능성과 이에 따른 사이버 보안 대응책, 공격표면관리솔루션(ASM)의 활용법, 최근 악성코드 동향 분석 등의 전문가 의견이 담겼다.
「2024년 하반기 사이버 위협 동향 보고서」는 KISA의 보호나라 누리집에서 확인 및 다운로드할 수 있다.
KISA 이동근 디지털위협대응본부장은 “기업들이 이번 보고서를 참고해 사전 대응체계를 마련하고 내부 보안 인식을 제고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KISA는 사이버 침해사고 예방과 피해 확산 방지를 위한 노력뿐만 아니라, 영세 중소기업에 대해 침해사고 피해지원 서비스를 통해 피해 복구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이라고 밝혔다.
배동현 (grace8366@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