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현장 소방관 저녁밥 논란…“밥 말은 미역국이 전부”

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확산된 대형 산불이 전국적인 관심을 끌고 있는 가운데, 산불 진화에 투입된 소방관들의 열악한 식사 실태가 알려지며 누리꾼들의 분노를 자아내고 있다.
지난 25일 한 SNS 이용자 A씨가 올린 한 장의 사진이 온라인을 뜨겁게 달궜다.
사진에는 방바닥에 놓인 일회용 그릇 두 개가 담겨 있었는데, 하나는 밥이 말아진 미역국, 나머지 하나는 콩자반과 김치가 약간 담긴 반찬 그릇이었다.
A씨는 “오후 2시부터 8시까지 산불을 진화한 소방관의 저녁 식사”라며 “진수성찬까지는 아니더라도 최소한 백반 수준은 제공되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해당 게시물이 확산되자 누리꾼들은 분노했다. “교도소 식단보다 못하다”, “국민 생명을 지키는 분들에게 너무하다”, “현장에 음식 조달이 어렵다면 자원봉사라도 하겠다”는 반응이 이어졌다.
일부 시민들은 자발적으로 소방관을 위한 도시락 후원을 제안하기도 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해의 목소리도 나왔다.
자신을 시골 지역 의용소방대원이라고 소개한 누리꾼은 “현장에서 준비할 수 있는 식사가 한정돼 있다. 마을회관 어르신들이 도와주지 않는 한 국수나 컵라면, 미역국 정도가 가장 빠르게 제공할 수 있는 식사다”라며 “최대한 빨리 식사를 마치고 교대를 해야 하는 소방관들 입장에선 간편한 식사가 오히려 낫기도 하다”고 전했다.
문제는 반복되는 재난 현장에서 구조와 진화를 담당하는 이들의 기본적인 식사조차 충분히 보장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전국 단위로 확대된 이번 산불은 진화율이 85%(28일 오전 5시 기준)에 이르고, 영향 구역은 4만 5,157헥타르에 달한다.
장시간 산 속에서 사투를 벌이는 소방 인력의 피로 누적과 체력 유지가 중요한 만큼, 최소한의 영양과 위생이 보장된 식사는 필수적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재난 대응 인력에 대한 처우 개선은 단순한 복지 차원이 아니라 국가 재난대응 시스템의 일환”이라며 “예산 확보와 함께 민관 협력 구조를 통해 급식 시스템도 체계화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실제 재난 현장에서의 식사는 준비 시간, 조리 여건, 안전 등의 변수로 인해 도시락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반복적인 재난 대응에서조차 비슷한 장면이 포착되는 점은, 구조적인 시스템 부재를 드러낸다는 분석도 있다.
한편 정부는 이번 산불과 관련해 전국 단위 소방력과 장비를 동원해 진화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피해 지역 이재민 지원과 복구 계획도 병행해 진행 중이다.
이와 함께 현장 소방관을 비롯한 대응 인력의 처우 개선 문제도 재조명되고 있어 후속 조치가 주목된다.
다른 기사보기
전수인(su2nee@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