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생명, “보험료 부담 줄이는 계약 유지 제도 활용”

삼성생명은 보험 계약을 중도 해지하기보다 ‘보험계약 유지 제도’ 를 활용하는 것이 소비자에게 유리하다고 26일 밝혔다.
삼성생명이 컨설턴트 2000여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보험 계약 해지의 가장 큰 원인은 ‘경제적 부담(70.7%)’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지난해 생명보험협회의 실태조사에서도 생명보험 가입자의 65.4%가 물가·경기 요인을 불안 요소로 꼽았으며, 이는 3년 전보다 10%포인트 이상 증가한 수치다.
그러나 설문에 참여한 컨설턴트 대다수는 기존 보험을 유지하는 것이 경제적 안정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했다.
특히 보험계약 해지 후 소비자가 겪는 주요 문제로 ‘질병·사고 발생 시 보장 공백(69.9%)’이 가장 많았으며, 이어 ‘재가입 시 보험료 인상(16.9%)’, ‘건강 상태 변화로 인한 재가입 거절(5.8%)’ 등이 꼽혔다.
삼성생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감액·감액완납제도 △보험계약대출제도 △자동대출납입제도 △보험계약 부활 등 다양한 보험계약 유지 제도 를 운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감액·감액완납제도는 보장 금액을 줄이는 대신 보험 계약을 유지하는 방식이다.
감액제도는 보장 금액을 축소해 보험료 부담을 낮추는 것이며, 감액된 부분은 해지로 간주돼 해약환급금이 지급된다.
감액완납제도는 보험료 납부를 중단하는 대신, 해당 시점의 해약환급금으로 새로운 보험가입금액을 결정해 완납하는 방식이다.
보험계약대출제도는 해약환급금 내에서 대출받고 이자를 상환하는 방식으로, 긴급한 자금 수요가 있을 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자동대출납입제도를 이용하면 해약환급금 범위 내에서 보험료를 자동 대출금으로 처리해 계약을 유지할 수 있다.
보험료 미납으로 계약이 해지된 경우에도 계약자가 해약환급금을 받지 않았다면 일정 기간 내 보험계약을 부활할 수 있다.
이 경우 피보험자의 나이 증가에 따른 추가 보험료 부담 없이 기존 보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재가입보다 유리한 선택이 될 수 있다.
배동현 (grace8366@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