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월 19일(월)

삼성전자 중국 시장 점유율 확대 박차

삼성전자 중국
(사진 출처-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 가 중국 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한 전략을 본격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폴더블폰을 앞세운 프리미엄 시장 공략과 AI 스마트폰 경쟁력 차별화를 통해 점유율 반등을 노린다는 계획이다.

노태문 삼성전자 모바일경험(MX)사업부장(사장)은 19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56기 정기 주주총회에서 “중국 시장에 특화된 제품으로 스마트폰 점유율을 끌어올리는 데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혔다.

노 사장은 “중국 시장은 모바일 관련 서비스 및 콘텐츠 발전 속도가 빠르고, 현지 브랜드와의 경쟁이 치열하다”며 “프리미엄 시장 집중 전략과 로컬 서비스·콘텐츠 업체와의 협업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중국 소비자들의 니즈와 트렌드에 맞춘 특화 제품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현지 IT·AI 기업들과 협력 중”이라며 “특수한 유통채널을 활용한 판매 확대도 추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삼성전자는 2013년 중국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20%를 기록했으나, 현재는 1%대로 급락한 상태다.

하지만 최근 폴더블폰을 중심으로 반등을 시도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IDC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삼성전자의 중국 폴더블폰 시장 점유율은 7.7%로 전 분기(3.0%) 대비 4.7%포인트 상승하며 4위로 올라섰다.

특히, 지난해 11월에는 중국 부유층을 겨냥한 초고가 모델 ‘심계천하 W25’와 ‘심계천하 W25 플립’을 출시하며 시장 공략을 강화했다.

이와 함께 AI 스마트폰 차별화 전략도 적극 추진 중이다.

노 사장은 “삼성은 갤럭시 S24를 통해 AI폰 시대를 열었고, 올해는 갤럭시 S25로 AI 에이전트폰 시대를 시작했다”며 “AI는 삼성 갤럭시의 가장 큰 차별화 요소”라고 강조했다.

삼성전자는 AI 경쟁력 강화를 위해 ▲퍼스널 데이터 엔진 도입 ▲녹스 볼트(Knox Vault) 기반 보안 기술 강화 ▲온디바이스·클라우드 균형을 맞춘 하이브리드 AI 전략 확대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노 사장은 “내부 역량 강화뿐 아니라 외부 파트너십도 적극 활용해 AI 스마트폰 시장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삼성전자는 새로운 폼팩터 도입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 1월 미국에서 열린 ‘갤럭시 언팩’ 행사에서 갤럭시 S25 엣지 시제품을 공개했으며, 이달 3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MWC 2025’에서도 실물을 전시해 주목을 받았다.

업계에서는 갤럭시 S25 엣지가 4월 중 출시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IT 전문 매체들에 따르면 해당 제품은 기존 S25보다 얇아진 디자인(최대 22% 감소)과 2억 화소 카메라, 퀄컴 스냅드래곤 8 엘리트 AP를 탑재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AI 기술과 차별화된 하드웨어 경쟁력을 앞세워 중국 시장 점유율 확대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다른기사보기

배동현 (grace8366@sabanamedia.com) 기사제보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