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 합병 통해 안정화 나서

새마을금고 중앙회는 2023년 7월 발생한 금고 뱅크런 사태 이후 총 24개 금고의 합병 을 완료했다고 3일 밝혔다.
고강도 구조개선을 통해 부실 우려를 사전에 차단하고, 전반적인 경영안정화를 도모하겠다는 전략이다.
중앙회는 올해 ‘금고구조개선본부’를 신설하고, 자본적정성 및 자산건전성 등의 정량적 기준을 적용해 합병 대상 금고를 선별해 왔다.
이 과정에서 예금자보호기금을 활용해 손실을 보전하고 인근 우량 금고와의 합병을 추진했다.
합병은 강제적 조치 외에도 자발적 협의에 의한 ‘자율 합병’도 병행되고 있다.
실제로 뱅크런 사태 이후 6개의 금고가 지역 내 금융 안정성과 경영 효율성 강화를 이유로 자율 합병에 나섰다.
중앙회는 이를 통해 새마을금고가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을 갖추도록 유도하고 있다.
특히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리스크가 확대되면서, 중앙회는 합병 추진을 보다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예금자 보호와 고객 불편 최소화를 위해, 합병 대상 금고는 새로운 금고의 지점으로 운영된다.
고객들의 5000만 원 초과 예·적금 및 출자금은 원금과 이자 전액이 이전돼 안전하게 보호된다.
새마을금고 의 경영합리화 조치는 부실 금고의 재무구조 개선과 합병 을 통한 체질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중앙회는 금고 수는 줄이되, 지역 내 점포 수는 유지해 금융 접근성이 낮은 지역에 대한 서비스도 지속 제공할 방침이다.
김인 새마을금고중앙회 회장은 “합병 등 경영합리화로 인해 법인 수는 감소하더라도 점포 총수는 유지할 것”이라며 “금융소외지역에 대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민금융기관으로서 사회적 책무를 다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배동현 (grace8366@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