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월 18일(일)

서울 버스 파업 여부 8일 결정… 퇴근길 대란 우려

서울 시내버스 노조가 파업 여부를 8일 결정한다.
서울 시내버스 노조가 파업 여부를 8일 결정한다. 사진은 서울시 버스정류장 LED전광판에 띄워진 ‘시내버스 준법 투쟁’ 관련 문구. (사진 출처-이슈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DB 금지)

서울 시내버스 노조가 8일 파업 여부를 결정한다.

전국자동차노조 지역 대표자 회의 결과에 따라 실제 파업이 강행되면, 서울 시민들은 이날 퇴근길부터 심각한 교통 불편을 겪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는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파업 가능성이 대두된 것으로, 시민과 행정당국 모두 비상 상황에 대비하고 있다.

서울버스노동조합은 이날 오전 22개 지역 버스 노조와 함께 대표자 회의를 열고 향후 쟁의 방향을 최종 확정한다.

노조와 사측은 올해 임금·단체협약(임단협) 협상에서 통상임금 적용 범위와 임금 인상률 등을 두고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노조는 대법원 판례를 근거로 정기상여금의 통상임금 포함을 주장하지만, 사측과 서울시는 “정기상여금을 포함하면 임금 총액이 약 23% 증가해 시 재정에 큰 부담이 된다”며 반발하고 있다.

실제로 노조는 지난달 30일 하루 동안 경고성 준법투쟁에 나섰고, 연휴가 끝난 직후인 7일부터 이를 재개하며 파업 전 단계에 돌입했다.

준법운행은 승객이 자리에 앉을 때까지 출발하지 않거나 안전 매뉴얼을 철저히 지키는 방식으로, 사실상 ‘태업’에 가까운 쟁의행위다.

서울시는 상황에 대비해 비상대응체계를 가동 중이다.

출근 시간대인 오전 7시부터 10시까지 지하철 1~8호선과 우이신설선에 총 47회 열차를 추가 투입하고 있으며, 자치구 셔틀버스는 일단 운영하지 않는다.

주요 정류소에는 공무원을 배치해 고의 정차나 감속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있다. 시민 신고는 120 다산콜센터를 통해 접수 중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운행 간격 지연이나 고의 태업이 발생할 경우, 서울경찰청과 협력해 즉시 대응하겠다”며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모든 수단을 동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노조가 이날 회의 결과에 따라 전면 파업에 돌입할 경우, 서울시는 즉시 긴급 수송 대책으로 전환해 지하철 증편과 무료 셔틀버스 투입에 나설 계획이다.

노조가 참여 중인 사업장은 64개사로, 실제 쟁의 참여 대상은 61개사에 이른다. 이번 사안이 전국 단위로 확산될 경우, 전국적 교통 대란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다른 기사보기

전수인(su2nee@sabanamedia.com) 기사제보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