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시내버스 노동조합이 7일 다시 준법운행에 돌입했다.
지난달 30일 하루 동안 경고성 준법운행을 벌인 이후 황금연휴 기간 정상 운행을 유지해오다 일주일 만에 다시 움직인 것이다.
서울시는 혼잡을 우려해 열차 증편과 현장 관리 인력 투입 등 비상 대응 체계에 돌입했다.
서울시는 6일 사전 공지를 통해 “시내버스 노조의 준법운행이 재개될 예정이며,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특별 교통대책을 즉각 가동한다”고 밝혔다.
이날부터 적용되는 준법운행은 버스 운전기사가 승객이 모두 자리에 앉을 때까지 기다린 후 출발하거나, 앞서가는 차량을 추월하지 않는 등 안전지침을 철저히 지키는 방식이다.
이로 인해 배차 간격이 길어지고 버스 운행에 연착이 발생할 수 있다.
서울시는 이날 오전 7시부터 10시까지 출근시간대 혼잡을 대비해 지하철 1~8호선과 우이신설선에 총 47회 열차를 추가 편성했다.
다만, 지난 준법운행 당시 시민 불편이 크지 않았던 점을 고려해 자치구 셔틀버스는 운행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현장 관리도 강화된다. 서울시는 주요 정류소에 공무원을 배치해 다수 차량이 몰리는 상황이나 장시간 정차 등을 실시간으로 조치하기로 했다.
또 시민 불편 신고는 120 다산콜센터를 통해 접수받고, 신속 대응하겠다는 방침이다.
서울시버스노동조합은 “준법운행은 쟁의행위가 아닌 정당한 안전지침 이행”이라며 “이를 막으려는 서울시의 행정적 개입은 위법의 소지가 있다”고 반발했다.
노조 측은 정당한 절차에 따른 운행이라고 주장하며 준법운행에 대한 서울시의 대응에 강하게 반대하고 있다.
노사 간 갈등의 불씨는 여전히 남아 있다. 지난달 29일 임금 및 단체협약 협상이 결렬된 이후 양측은 공식적인 교섭을 재개하지 못한 상태다.
연휴 기간 동안 일부 실무선에서 논의가 있었지만 협상을 다시 시작할 정도의 조건이 오간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는 관측이 나온다.
노조는 오는 8일 열리는 전국자동차노조 지역 대표자 회의에서 본격적인 파업 돌입 여부와 시기를 논의할 예정이다.
만약 이번 회의에서 파업에 대한 결론이 내려질 경우 서울뿐 아니라 전국 단위의 동시 파업으로 확대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다른 기사보기
전수인(su2nee@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