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월 08일(목)

서울 한남3구역, 초등학교·병설유치원 신설 확정…교육 인프라 강화

유치원
(사진출처-용산구)

서울 용산구 한남3 재정비촉진구역에 초등학교와 병설유치원이 신설된다.

서울시는 지난 15일 개최된 제4차 도시재정비위원회 심의에서 ‘한남3재정비촉진구역 재정비촉진계획 재심의(안)’을 일부 수정해 가결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결정에 따라 해당 구역 내에는 31개 학급 규모의 초등학교와 병설유치원이 함께 들어설 예정이다.

이는 해당 지역 정비사업의 주거 환경 개선뿐만 아니라 교육 여건 향상까지 고려한 조치로 풀이된다.

서울시에 따르면 이번 재심의는 서울시교육청과 중부교육지원청이 해당 부지에 학교 설립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출한 데 따른 조치다.

주민 의견도 수렴했으며, 결과적으로 기존 공공공지로 지정됐던 8,500㎡ 규모의 도시계획시설 부지가 학교용지로 전환됐다.

이에 따라 초등학교와 병설유치원 조성을 위한 도시계획시설 면적은 총 1만755㎡로 확대됐고, 기존의 용적률과 세대수도 소폭 조정됐다.

한남3구역은 용산구 일대에서 가장 큰 규모로 추진되는 재정비촉진구역 중 하나로, 서울 도심권의 핵심 주거지로 부상하고 있는 지역이다.

이번 결정으로 용적률은 기존 238.25%에서 237.07%로 약간 하향 조정됐고, 총 세대수는 기존 5,988세대에서 5,970세대로 18세대 줄었다.

하지만 그만큼 교육 인프라가 확충되면서 입주민들의 주거 만족도와 자녀 교육 환경은 크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시는 해당 학교의 구체적인 규모와 설계는 향후 서울시교육청의 ‘학교시설사업시행계획’을 통해 확정될 것이라고 밝혔다.

도시정비사업에 있어 학교용지 확보는 주민 입주 이후 예상되는 학령인구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조치로, 장기적인 도시 기능 확보와 직결된다.

최근 서울시 내 도시정비사업에서는 단순히 주택을 공급하는 차원을 넘어, 양질의 정주 여건을 갖추는 방향으로 정책이 확대되고 있다.

학교, 도서관, 공원 등 공공시설의 사전 확보는 재개발지에서 가장 큰 주민 민원 중 하나인 교육 여건 문제 해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서울시 관계자는 “이번 결정은 한남3재정비촉진구역 내 주민들이 자녀 교육에 대한 우려 없이 안심하고 거주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앞으로도 재정비 구역에 대해 단순한 주택 공급이 아니라 생활 인프라까지 고려한 도시계획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시는 앞으로 한남3구역 외에도 대규모 재정비 사업을 추진하는 지역에 대해서는 사전에 교육청과 협의하여 학령인구 수요를 반영한 교육시설 계획을 포함시키는 방향으로 도시계획을 강화하겠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교육계 안팎에서도 이번 조치를 반기는 분위기다.

도심 내 신규 아파트 단지 조성과 함께 학교 신설이 미뤄지는 경우가 잦았던 과거 사례에 비추어볼 때, 이번 학교시설 조성 결정은 바람직한 선례가 될 수 있다는 평가다.

특히 인근 지역의 학교 과밀 문제를 분산시키고, 향후 교육 수요 증가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서울시는 향후 학교 신설과 더불어 지역 내 보육시설, 커뮤니티센터, 도서관 등 공공 인프라 구축도 병행해 정비촉진구역이 주민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학교시설 반영은 서울시가 지향하는 ‘사람 중심의 도시재생’ 철학을 반영한 대표적인 사례로, 주거·교육·복지를 통합적으로 고려한 도시정비의 청사진이 구체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다른기사보기

이소율 (lsy@sabanamedia.com) 기사제보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