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월 20일(일)

성심당, 빵 하나로 매출 1,900억 돌파…뚜레쥬르 영업이익까지 제쳤다

성심당 딸기 시루 케이크.
성심당 딸기 시루 케이크. (사진출처- 성심당 SNS 캡처)

대전을 대표하는 빵집 성심당 이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대형 프랜차이즈 브랜드들을 넘어섰다.

특히 전국에 1,300여 개 매장을 둔 CJ푸드빌의 뚜레쥬르보다 높은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지역 기반 빵집의 저력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

4월 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성심당의 2023년 매출은 1,937억6,000만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무려 56% 늘어난 수치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478억원으로, 전년 315억원 대비 50% 증가했다. 성장세가 가파르다 못해 폭발적이다.

성심당이 매출 1,000억원을 돌파한 것은 불과 2023년부터다.

2020년 488억원에 머물던 매출은 2021년 628억원, 2022년 817억원을 기록하며 꾸준히 상승해왔다.

대형 프랜차이즈도 성심당의 영업이익을 넘어서지 못했다.

뚜레쥬르를 운영하는 CJ푸드빌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299억원이었으나, 성심당은 그보다 약 179억원 더 많은 478억원을 달성했다.

단일 지역에 집중된 베이커리 브랜드로는 이례적인 기록이다.

성심당의 성공 비결은 뚜렷하다. 1956년 대전에서 문을 연 이후 ‘당일 생산, 당일 판매’ 원칙을 고수하며 신선함과 품질을 강조해왔다.

2012년 대전역 분점을 열면서 전국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했고, 2014년에는 프란치스코 교황 방한 당시 치아바타와 바게트가 아침 식사로 제공되며 세계적인 관심을 받았다.

이후 성심당은 전국 여행객들의 필수 방문 코스로 자리 잡으며 입소문을 타고 성장했다.

매장 수도 꾸준히 늘었다. 2020년 말 10곳이었던 매장은 2023년 말 기준 16곳으로 증가했다.

하지만 여전히 성심당은 대전 지역에만 집중하며 본연의 브랜드 정체성을 유지하고 있다.

전국적으로 확장하기보다 대전에서의 품질과 신뢰를 바탕으로 브랜드 가치를 더욱 공고히 하는 전략이다.

성심당의 인기는 지역 관광 산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2021년부터 대전관광공사가 주최하고 대전시가 후원하는 ‘대전 빵축제’가 매년 열리고 있으며, 성심당은 이 축제의 핵심 브랜드로 자리하고 있다.

지역 경제 활성화의 중심에 선 성심당의 활약이 빵을 넘어 대전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셈이다.

성심당이 만들어 낸 이 성공 신화는 단순히 빵집 하나의 성장이 아니다.

신선함을 최우선으로 한 품질 관리, 지역에 대한 자부심, 고객 중심의 경영 철학이 맞물려 만들어 낸 결과다.

이에 앞으로도 성심당이 어떤 새로운 기록을 써 내려갈지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다른 기사보기
전수인(su2nee@sabanamedia.com) 기사제보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