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월 25일(일)

신선한 국산 우유, 식탁 안전망 강화

국산 우유
국산 우유가 신선도와 품질을 앞세워 소비자 신뢰를 높이고 있다. (사진 출처-우유자조금관리위원회 제공)

5월 14일 식품안전의 날을 맞아 식탁 위 먹거리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국산 우유 가 신선도와 품질을 앞세워 소비자 신뢰를 얻고 있다.

특히 우유 구매 시 ‘신선도’를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삼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나면서, 국산 우유 의 경쟁력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2023년에 발표한 식품소비행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유를 선택할 때 ‘신선도’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응답이 33.4%로 집계됐다.

이는 ‘맛’을 중요시한 응답(30.8%)과 ‘가격’을 선택한 응답(19.5%)을 앞선 수치다.

우유가 자연 그대로의 신선함을 유지하는 식품이라는 인식이 소비자들의 선택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국산 우유는 착유 직후 즉시 냉각 과정을 거쳐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보관되며, 이 과정을 거친 후 이틀에서 사흘 이내에 소비자에게 전달된다.

전국에 구축된 콜드체인 시스템을 통해 유통되는 국산 우유는 유통기한이 대체로 13일에서 14일 정도로 짧기 때문에, 신선도 유지와 품질 관리가 필수적이다.

2024년 상반기 기준으로 원유 품질 관리 결과를 보면, 체세포 수 1등급 비율이 71.88%에 이르고, 세균 수 1등급 비율은 99.62%에 달해 낙농 선진국 수준을 넘어서는 엄격한 위생 기준을 충족하고 있다.

이에 반해 수입산 멸균우유는 고온과 고압을 통한 멸균 처리로 실온 보관이 가능하지만, 생산지에서 출발해 국내로 도착하기까지 대개 한 달에서 세 달 정도의 기간이 소요된다.

이 과정에서 일부 영양소와 신선한 맛이 손실될 수 있으며, 장기 유통으로 인한 신선도 저하에 대한 우려가 꾸준히 제기돼 왔다.

실제로 온라인으로 주문한 멸균우유의 경우, 유통기한이 두 달에서 세 달밖에 남지 않은 제품을 받는 경우도 적지 않다.

이러한 차이는 소비자 인식 조사 결과에서도 드러난다.

한국낙농육우협회가 2024년에 실시한 소비행태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6%가 ‘국산 우유가 수입산 멸균우유보다 우수하다’고 답했다.

주요 이유로는 ‘신선도'(65.8%)와 ‘안전성'(63.6%)이 가장 많이 꼽혔다.

단순한 국산 제품 선호를 넘어, 실제 품질과 신뢰를 중시하는 소비자 의식이 반영된 결과다.

국산 우유의 신선도와 품질은 개인의 건강을 넘어 식량 안보와 국내 낙농산업의 지속 가능성까지 연결된다.

최근 기후 변화와 글로벌 공급망 불안정이 심화되는 가운데, 국내 생산과 유통으로 관리되는 신선우유에 대한 신뢰와 소비는 우리 식탁을 지키는 중요한 버팀목이 되고 있다.

우유자조금관리위원회 관계자는 “국산 우유는 낙농가에서 착유한 후 2~3일 만에 소비자 식탁에 오르는 대표적인 신선식품”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먹거리 불안이 커진 지금, 믿을 수 있는 국산 우유로 건강한 일상을 지켜가길 바란다”고 전했다.

다른기사보기

배동현 (grace8366@sabanamedia.com) 기사제보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