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 턱밑샘 타석증 내시경 시술 효과 입증

손으로 만져지지 않는 깊은 부위의 턱밑샘 타석증 치료에는 내시경을 이용한 수술이 기존 수술법보다 높은 성공률과 낮은 합병증을 보인다는 연세대 강남세브란스병원 임재열 교수 연구팀의 결과가 발표됐다.
턱밑샘 타석증은 침샘에 결석이 생겨 침의 흐름을 막고 염증이나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특히 턱밑샘 깊은 내부나 혀 아래쪽에 위치한 결석은 외부 촉진이 어려워 수술이 까다롭고 치료법 선택이 중요하다.
연세대 강남세브란스병원 이비인후과 임재열 교수 연구팀은 이러한 비촉지성 타석증(턱밑샘) 환자에게 내시경 보조 타석 제거술(SASR)을 시행한 결과, 기존 전통적 수술법(TOSR)에 비해 치료 성과가 우수하다는 점을 입증했다.
연구는 2017년부터 2024년까지 비촉지성 턱밑샘 타석증 환자 87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 중 내시경 보조 시술을 받은 SASR 그룹은 70명, 기존 수술법을 받은 TOSR 그룹은 17명이었다.
SASR 그룹의 타석 제거 성공률은 98.57%로 TOSR 그룹의 94.12%보다 높았고, 합병증 발생률은 SASR 7.14%, TOSR 41.18%로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SASR 그룹의 72.09%는 수술 후 침샘 기능을 완전히 회복했으며, 두 그룹 모두 연구 기간 내 타석 재발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 시술을 통해 기존 수술로 제거하기 어려웠던 작은 크기의 실질 내 타석까지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었음을 확인했다.
임재열 교수는 “내시경을 이용한 시술이 턱밑샘의 기능을 보존하면서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결석을 제거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며 “이번 연구를 계기로 턱밑샘 타석증 치료 표준이 내시경 시술 중심으로 새롭게 정립되면 비침습적 치료 기술 발전과 환자 삶의 질 개선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국제 이비인후과학 학술지 ‘Laryngoscope’에 최근 게재됐다.
배동현 (grace8366@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