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월 01일(목)

염증성 장질환 절반 이상, 치료해도 일상 불편

염증성장질환 환자
염증성장질환 환자. (사진출처- FreePik)

국내 염증성 장질환 환자 절반 이상이 치료를 받고 있음에도 여전히 설사, 혈변, 경련성 복통 등 심각한 증상을 겪고 있으며, 동시에 불안감과 우울감 등 심리적인 고통으로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호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궤양성대장염환우회 UC사랑회와 크론병환우회 ‘크론가족사랑회’가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염증성 장질환 환자 399명 중 54.6%가 신체 증상이 여전히 지속되고 있었으며, 50.9%는 심리적 문제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염증성장질환은 궤양성대장염과 크론병을 포괄하는 질환으로, 환자들은 삶의 질 저하와 만성적인 건강 문제에 동시에 직면해 있는 상태다.

특히, 응답자의 17.8%는 염증성 장질환 외에도 아토피피부염(7.8%), 건선(4.3%), 류마티스관절염(3.0%), 강직성척추염(2.3%) 등의 면역매개 질환을 동시에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단일 질환만을 고려한 치료 접근이 한계에 부딪힐 수 있음을 시사한다.

환자들이 꼽은 가장 중요한 치료 목표는 ‘관해 상태의 장기 유지’가 41.4%로 가장 많았고, 이어 ‘정상적인 삶’(31.8%), ‘증상의 완전 소실’(8.8%), ‘점막 치유’(6.8%) 순이었다.

응답자 다수는 치료 중 의료진과의 적극적인 소통과 명확한 설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민지 UC사랑회 회장은 “염증성 장질환 환자들은 다른 면역질환이 동반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증상 발생 시 의료진과의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조기 진단과 치료에 나설 필요가 있다”며 “의료진 또한 협진 시스템을 강화해 환자의 복합적 상태에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정은 크론가족사랑회 회장 역시 “환자들이 바라는 치료 목표에 대해 의료진과 충분히 논의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염증성 장질환은 단순한 장 질환을 넘어서, 환자의 전신 건강과 정신적 복지까지 영향을 미치는 복합적 질환이다.

이에 따라 환자 중심의 다학제 치료, 정서적 지원, 사회적 이해 확대가 함께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다른 기사보기
전수인(su2nee@sabanamedia.com) 기사제보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