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일 UBT, AI 감독관 기능으로 부정행위 차단

네이버는 공교육 평가에 최적화된 디지털 시험 플랫폼 ‘웨일 UBT’ 를 정식 출시했다고 21일 밝혔다.
지난해 10월 베타 형태로 첫 공개된 웨일 UBT 는 광주시교육청의 교수학습 플랫폼 ‘광주아이온’에 기본 평가 시스템으로 처음 탑재됐다.
웨일 UBT는 수행평가를 포함한 다양한 공교육 평가를 하나의 시스템에서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교사는 직접 문항을 생성해 출제하거나 교육청 단위로 구축된 고품질 평가 문항을 활용할 수 있으며, 맞춤형 문항 저작 도구도 제공해 다양한 형식의 수행평가 설계가 가능하다.
또한 초중고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기반으로 메타 데이터 표준화를 진행하고, EBS, 천재교육, 지학사, 쏠북 등 주요 출판사와 협업해 약 40만 건 이상의 문항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 중 일부는 2015·2022 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하고 있으며, 단계별로 수행평가 기능도 추가된다.
인공지능(AI) 감독관 평가 솔루션도 주목할 만하다. 응시자의 부정행위를 감지하고 차단함으로써 안전하고 신뢰성 높은 평가 환경을 구현했다.
이를 통해 공정한 시험 운영이 가능하며, 평가 전반의 디지털화도 가속화될 전망이다.
광주 초등학교에서 사용 중인 안드로이드 OS 기반 태블릿에서도 활용이 가능하도록, 웨일 브라우저에 모바일 시험 모드 기능이 새롭게 추가됐다.
웨일 UBT는 기본 기능 외에도 교육청별로 요구되는 기능을 선택적으로 추가 제공하는 커스터마이징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김효 네이버 웨일 리더는 “학습의 패러다임이 개인화 맞춤 학습과 과정 중심의 평가로 변화하는 흐름에 맞춰 공교육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올인원 평가 서비스인 웨일 UBT를 선보이게 됐다”며 “교육 현장의 의견을 지속적으로 반영하고 더 많은 평가 문항을 확보하며 평가에 최적화된 서비스로 발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배동현 (grace8366@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