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버 뭐랭하맨, ‘폭싹 속았수다’ 수익금 전액 제주 4·3에 기부

넷플릭스 시리즈 ‘폭싹 속았수다’를 리뷰한 영상으로 화제를 모은 유튜버 뭐랭하맨(본명 김홍규)가 해당 콘텐츠로 벌어들인 수익 전액을 제주 4·3 평화재단에 기부하며 선한 영향력을 보여줬다.
김홍규는 지난달 29일 자신이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 ‘뭐랭하맨’에 ‘귤바오의 폭싹 속았수다 4막 리액션’이라는 제목의 리뷰 영상을 올렸다.
그는 ‘폭싹 속았수다’를 시청하며 장면마다 제주의 역사적 배경을 설명하고, 자신이 느낀 감정을 생생하게 전달해 시청자들의 뜨거운 반응을 얻었다.
그의 유튜브 채널은 35만 명 이상의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번 리뷰 영상은 특히 높은 조회수를 기록하면서 광고 수익도 함께 발생했다.
김홍규는 해당 영상의 수익금이 약 343만 원에 달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를 단순한 수익이 아니라, 제주의 아픈 역사를 기억하고 알릴 수 있는 기회로 활용하겠다는 결심을 했다.
김홍규는 “이제는 4·3에 대해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시지만 여전히 모르는 분들도 많다”며 “넷플릭스 시리즈 ‘폭싹 속았수다’가 제주의 정서를 잘 담아낸 만큼, 그 영상에서 나온 수익은 마땅히 4·3을 위해 쓰여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영상 수익금 343만 원에 사비 150만 원을 더해 총 500만 원을 4·3 평화재단에 기부했다.
기부 이체 내역도 함께 공개하며 기부의 진정성과 투명성을 높였다.
김홍규는 과거 제주도 홍보대사로 활동했던 이력이 있으며, 제주에 대한 깊은 애정을 지속적으로 보여왔다.
그의 이번 기부는 단순한 콘텐츠 제작자를 넘어, 지역과 역사를 기억하고 알리는 시민의 책임을 다하는 모범적인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누리꾼들도 그의 기부 소식을 접하고 “진정한 크리에이터의 모습”, “제주에 대한 애정이 느껴진다”, “이런 선한 영향력이 더 많이 퍼졌으면 좋겠다”며 뜨거운 응원의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한편 제주 4·3 사건은 1948년 4월 3일부터 수년간 제주도에서 벌어진 민간인 학살 사건으로, 그 아픈 역사를 되새기기 위한 4·3 희생자 추념일이 매년 4월 3일에 열린다.
김홍규의 이번 기부는 4·3 사건의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고, 많은 이들에게 제주를 다시금 생각하게 만드는 계기를 제공하고 있다.
다른 기사보기
전수인(su2nee@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