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화탄소 포집 · 활용 CCU 전략 가동

정부가 차세대 탄소중립 핵심 기술인 이산화탄소 포집 · 활용(CCU) 기술의 개발과 산업화를 본격화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4일 서울 과학기술회관에서 ‘이산화탄소 포집 · 활용 이니셔티브’ 출범식을 열고, 국내 기업들과 함께 CCU 기술의 연구개발과 상용화 전략을 발표했다.
이날 출범식에는 이창윤 과기정통부 제1차관을 비롯해 주요 기업, 연구기관, 학계 등 산·학·연 전문가 150여명이 참석했다.
정부는 CCU 기술을 단순한 탄소 감축 수단을 넘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육성할 수 있는 성장동력으로 보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럭스 리서치는 CCU 산업이 2040년 약 800조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CCU 기술은 산업 현장이나 대기 중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를 포집하고, 이를 화학제품 등 유용한 자원으로 전환하는 기술이다.
시멘트, 석유화학처럼 이산화탄소 배출이 필연적인 산업에서는 사실상 유일한 대규모 감축 수단으로 평가된다. 미국, 유럽연합 등 주요국은 이미 세제 지원과 실증 프로젝트를 통해 상용화에 나선 상황이다.
과기정통부는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기업 중심의 협의체 ‘CCU 이니셔티브’를 구성해 기술개발과 산업육성을 병행한다.
단기적으로는 CCU 중점 연구실을 지정해 선도기술 확보에 나서고, 글로벌 공동연구를 위한 ‘탄소중립 글로벌 플래그십 프로젝트’도 추진한다.
이를 통해 선도국과의 협력 아래 실증 기술을 개발하고 산업현장에 연계 적용할 방침이다.
중장기적으로는 대규모 실증 프로젝트를 통해 이산화탄소 다배출 산업 중심으로 산업화 체계를 구축한다.
정유화학, 석유화학, 시멘트, 철강, 발전 등의 산업에 정부가 실증사업을 지원함으로써 초기 시장의 기술 리스크를 분담하고, 성공 사례를 통해 민간 확산을 유도할 계획이다.
또한 공기 중 직접 포집(DAC)이나 무포집 전환 등 차세대 CCU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도 병행해, 2050년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미래 기술 확보에도 주력한다.
과기정통부는 이를 기술개발과 산업정책의 병행 전략으로 명확히 하고, 관련 법·제도 정비도 추진한다.
이를 위해 CCU 통합법인 ‘이산화탄소 포집·수송·저장 및 활용에 관한 법률’을 기반으로, 기업들이 보유한 CCU 기술·제품 인증과 전문기업 지정 기준 등을 명확히 하는 세부 고시를 조속히 마련할 계획이다.
기업의 진입 장벽을 낮추고, 기술 상용화 기반을 제도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취지다.
이창윤 차관은 “탄소중립은 미래세대를 위한 생존과 직결된 과제이며, 이를 위한 과학기술적 해법으로 CCU 기술의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며 “과기정통부는 이번 이니셔티브를 계기로 민간과 긴밀히 소통하며, 기술개발·산업기반 조성·제도개선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출범식을 계기로 CCU 이니셔티브를 상시 운영하며, 산업계와 학계, 연구기관과 협력을 통해 제도 개선과 기술 고도화를 위한 논의를 지속할 예정이다.
배동현 (grace8366@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