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119 신고 시스템 개선… 실시간 위치 공유

청각·언어 장애인 도 긴급상황 발생 시 영상통화 방식으로 119 에 직접 신고할 수 있게 됐다.
소방청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협업해 119 수어통역 시스템을 구축하고, 17일부터 본격 운영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기존에는 청각·언어 장애인 이 손말이음센터를 통해 수어통역사에게 먼저 수어로 상황을 전달하고, 통역사가 다시 119 에 대신 신고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는 실제 신고자의 전화기 위치를 소방이 확인할 수 없어 정확한 현장 출동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번에 구축된 시스템은 장애인, 119상황실, 수어통역사 간 3자 영상통화를 실시간으로 지원한다.
청각·언어 장애인이 영상통화로 119에 직접 신고하면, 접수 직원은 간단한 버튼 조작만으로 손말이음센터에 연결해 실시간 수어통역을 이어갈 수 있다.
이 방식은 신고자 본인의 휴대전화 단말 정보를 활용하기 때문에 위치 추적이 가능해져 신속한 구조 활동이 가능해졌다.
소방청과 과기정통부는 이를 통해 장애인의 긴급 상황 대응 체계를 실질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정보 접근성과 안전 서비스에서 차별 없는 지원을 실현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는 평가다.
허석곤 소방청장은 “청각·언어 장애인이 안전 서비스를 제공 받는데 장벽이 있어서는 안된다”며 “이번 협업을 계기로 앞으로도 부처 간 기술 교류 및 시스템 연계를 통해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고, 모든 국민이 고르게 안전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도 이날 손말이음센터를 방문해 시스템 시연을 참관하고 수어통역사들을 격려하며 “국민 누구나 차별이나 배제없이 디지털 기술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디지털 민생지원의 범위를 더 넓혀 나가겠다”고 밝혔다.
배동현 (grace8366@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