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꿈의 철도 하이퍼튜브 연구 돌입

정부가 서울에서 부산까지 16분 만에 주파할 수 있는 차세대 초고속 육상 교통수단 ‘하이퍼튜브’ 의 핵심 기술 연구에 본격 착수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9일 하이퍼튜브 추진을 위한 자기부상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2027년까지 3년간 총 127억원이 투입되며,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 주관을 맡는다.
하이퍼튜브는 진공에 가까운 아진공(0.001~0.01기압) 상태의 튜브 안에서 자기 부상 기술을 이용해 열차를 띄우고, 선로와의 마찰 없이 시속 1200㎞로 이동하는 초고속 교통수단이다.
기존 KTX보다 약 4배 빠른 속도로, 서울에서 부산까지 최단거리 기준 16분 15초면 도달할 수 있다.
하이퍼튜브 기술 구현에는 자기부상·추진 기술뿐 아니라 아진공 튜브 설계·시공, 전용 차량 제작, 제어 시스템 등 복합 기술이 필요하다.
이번에 정부가 집중적으로 예산을 투입하는 영역은 자기부상 추진 기술이며, 하이퍼튜브 전용 선로와 주행 제어를 포함한 핵심 기반 기술 개발이 주요 과제다.
국토부는 이 사업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철도국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민간 전문가 중심의 ‘하이퍼튜브 핵심기술 개발사업 추진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
선로 기술 개발에는 GS건설, 한국교통대학교, 한국전기연구원 등도 공동 참여해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하이퍼튜브는 기상 조건에 영향을 덜 받는 친환경 교통수단으로, 향후 상용화 시 항공 및 기존 고속철도와 경쟁할 수 있는 미래 운송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하이퍼루프’로도 불리는 이 기술은 미국, 중국 등 주요 국가들이 기술 개발에 뛰어든 상태다.
윤진환 국토부 철도국장은 “고속철도 수입국이던 우리나라는 20년 만에 자체 기술을 수출하는 국가로 도약했다”며 “하이퍼튜브라는 ‘꿈의 철도’ 기술 개발로 글로벌 철도 경쟁 시장을 주도하게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배동현 (grace8366@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