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월 24일(목)

트리플, AI 숏폼 중심으로 개편

트리플 AI
초개인화 여행 플랫폼 트리플이 인공지능(AI) 기반 숏폼 콘텐츠를 전면에 내세운 메인 홈 화면 개편을 단행했다. (사진 출처-놀유니버스 제공)

초개인화 여행 플랫폼 트리플 이 인공지능(AI) 기반 숏폼 콘텐츠를 전면에 내세운 메인 홈 화면 개편을 단행했다.

누적 150만 건에 이르는 사용자 리뷰 데이터를 기반으로, 고객의 성향과 취향에 맞춘 몰입형 경험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트리플 운영사 놀유니버스는 10일, 이번 개편을 통해 메인 홈에 ‘스토리’ 영역을 신설했다고 밝혔다.

이 영역에서는 이용자 리뷰, 이미지, 영상 데이터를 AI가 재구성한 숏폼 콘텐츠가 제공되며, 실시간 인기 도시, 테마별 여행지 등을 짧은 영상으로 보여준다.

이를 통해 사용자 관심을 자연스럽게 유도하고, 여행 심리를 자극해 전환율을 높인다는 전략이다.

짧고 직관적인 콘텐츠 선호도가 증가하는 가운데, 트리플은 숏폼 중심으로 이용자 접점을 재정비하고 있다.

AI 및 빅데이터 분석으로 여행 성향을 정밀하게 파악한 뒤, 맞춤형 도시 추천과 관련 콘텐츠를 연결해 이용자의 체류시간과 앱 내 행동률을 높이고자 한다.

광지 중심에서 경험 중심으로 이동하는 여행 트렌드에 발맞춰, 기존에 분리돼 있던 국내·해외 여행 영역을 통합한 것도 특징이다.

사용자들이 특정 목적지를 정하지 않았더라도, 메인 화면에서 다양한 테마와 장소를 자유롭게 탐색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개선했다.

트리플 의 여행 도시 추천 기능도 고도화됐다. AI 가 개인의 관심사와 과거 행동 데이터를 분석해 최적화된 여행지를 제안하고, 해당 지역으로 여행을 계획 중인 다른 트리플 사용자 수까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개인화된 추천과 함께 최신 여행 트렌드도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됐다.

김연정 놀유니버스 최고제품책임자(CPO)는 “이번 개편은 ‘지금 나에게 가장 맞는 여행’을 빠르고 직관적으로 발견할 수 있도록 기획됐다”며 “앞으로도 AI와 데이터 기술을 활용해 고객 여정을 중심으로 한 초개인화 여행 경험을 지속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트리플은 항공, 숙소, 교통, 환율, 사용자 후기 등 여행의 시작과 끝을 아우르는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지난해 누적 회원 수 1000만 명을 돌파했다.

여행 데이터 기반의 차별화된 경쟁력을 통해 글로벌 여행 플랫폼으로의 성장도 모색 중이다.

다른기사보기

배동현 (grace8366@sabanamedia.com) 기사제보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