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란티어 10% 급락, 뉴욕증시 혼조 마감

뉴욕증시 가 24일(현지 시각) 혼조세로 마감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과 대형주 벤치마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3거래일 연속 하락하며 투자심리가 위축됐다.
반면 다우지수는 소폭 상승하며 차별화된 흐름을 보였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33.19포인트(0.08%) 오른 43,461.21에 마감했다.
반면 S&P500지수는 29.88포인트(0.50%) 내린 5,983.25, 나스닥종합지수는 237.08포인트(1.21%) 하락한 19,286.92에 거래를 마쳤다.
이번 거래일에는 주요 경제지표 발표가 없었지만, 인공지능(AI) 관련주의 부진이 시장에 부담으로 작용했다.
특히 마이크로소프트(MS)가 두 곳 이상의 데이터센터 운영자와 임대 계약을 해지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기술주 및 에너지 관련 종목이 타격을 입었다.
MS 주가는 1.03% 하락했고, AI 기반 방산주로 주목받았던 팔란티어는 10.53% 급락했다.
반도체 업종도 동반 하락했다. 브로드컴이 4.91%, TSMC 3.32%, AMD 2.46%, 인텔 2.41%, 퀄컴 2.62% 각각 하락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2.59% 내리며 반도체 업종의 전반적인 부진을 반영했다.
대형 기술주 그룹 ‘매그니피센트 7’(M7) 가운데 애플만 상승했다. 애플은 4년간 미국 내 5,000억 달러를 투자하겠다고 발표하며 투자자들의 기대감을 모았다.
하지만 알파벳(-0.23%), 테슬라(-2.15%), 아마존(-1.79%), 메타(-2.26%) 등 다른 빅테크 주식들은 일제히 하락했다.
특히 엔비디아는 3.09% 떨어지며 주목받았다. 엔비디아는 오는 26일 장 마감 후 2025년 회계연도 4분기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최근 AI 반도체 시장의 변동성이 커지면서 엔비디아의 실적 발표가 시장의 변곡점이 될 가능성이 크다.
뉴욕증시 의 하락세는 최근 부진한 경제지표에도 영향을 받았다. 미국의 2월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49.7로 하락하며 25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여기에 미시간대 소비자 심리지수도 예상보다 낮게 나오며 경기 둔화 우려가 커졌다.
투자자들은 오는 28일 발표될 개인소비지출(PCE) 지수를 주목하고 있다.
PCE는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정책 결정에 중요한 지표로 작용하는 만큼, 시장의 변동성이 더욱 커질 가능성이 있다.
다른 기사보기
전수인(su2nee@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