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르소나AI, 온디바이스 AI 기술 공개

한국 AI 기업 페르소나AI 가 CES 2025에서 인터넷과 GPU 없이 동작하는 온디바이스 AI 기술을 공개하며 혁신상을 수상했다.
기존 클라우드 기반 AI 모델의 한계를 극복한 기술로 보안과 비용 문제를 해결하며 주목받고 있다.
CES 2025 현장에서 공개된 페르소나AI의 AI 엔진은 “NO INTERNET, NO GPU”라는 메시지를 내걸었다.
이 기술은 인터넷 연결 없이도 AI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GPU가 아닌 CPU 기반 AI 연산 기술을 활용한다.
이를 통해 보안·비용·환각 현상(모델 환각 문제) 등 기존 AI 기술의 한계를 해결한 ‘3무(無) AI’로 평가받고 있다.
페르소나AI는 자체 개발한 AI 엔진을 통해 클라우드 없이 AI를 운영하는 환경을 구축했다.
기존 글로벌 AI 모델이 서버 비용과 보안 문제를 수반하는 것과 달리, 페르소나AI는 인터넷 없이도 AI를 실행할 수 있어 보안성을 극대화했다.
또한 GPU 없이도 AI 연산이 가능하도록 설계돼, 기존 대비 50% 이하의 비용으로 AI를 활용할 수 있는 점이 강점으로 꼽힌다.
이 기술은 금융, 공공, 군사 등 보안이 중요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성이 높다.
최근 중국발 AI 모델인 딥시크(DeepSeek)가 개인정보 유출 논란을 빚고 있는 가운데, 페르소나AI의 솔루션은 인터넷 연결 없이 온프레미스(On-Premise) 환경에서 운영될 수 있어 데이터 보호 수준이 뛰어나다.
이 같은 특장점 덕분에 국내외 다수의 기업 및 공공기관이 페르소나AI의 AI 솔루션을 도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페르소나AI가 선보인 생성형 AI 모델 ‘SONA 1’은 이미지 생성뿐만 아니라 LLM(대형 언어 모델) 기능도 갖춰 문서 작업, 번역, 코딩 등 다양한 AI 활용이 가능하다.
또 일회성 구매 후 추가 비용 없이 무제한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도 주목받고 있다.
페르소나AI는 2018년 FPGA 기반 AI 반도체를 개발하며 AI 기술력을 확보해 왔다.
2020년에는 AI 키오스크를 출시하며 실용적 AI 기술을 선보였으며, 2023년에는 한국형 생성형 AI 모델 ‘KGPT’를 공개하며 국내 AI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했다.
지난해에는 TG삼보와 협업해 AI PC를 공동 출시하는 등 글로벌 AI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대하고 있다.
유승재 페르소나AI 대표는 “누구나 AI를 쉽게 활용하는 ‘1인 1로봇 시대’가 현실이 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비용, 보안, 환각 현상 걱정 없는 ‘3무 AI’로 대한민국 AI의 저력을 보여주겠다”고 밝혔다.
배동현 (grace8366@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