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AI 기반 로드킬 예방 시스템 시범운영

포스코 그룹이 환경부와 협력해 인공지능(AI) 영상인식 기술을 활용한 ‘동물 찻길 사고 예방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고, 9일부터 본격적인 시범 운영에 들어갔다.
이번 시스템은 포스코그룹의 사회공헌활동 ‘세포시(세상을 바꾸는 포스코그룹 시너지공헌활동)’와 포스코1%나눔재단의 기금을 통해 추진됐다.
산업현장에서 축적된 AI 기술을 생태계 보전과 운전자 보호라는 사회적 가치 실현에 접목했다는 데 의의가 크다.
해당 시스템은 포스코 DX가 개발했으며, 도로 구간에 설치된 스마트 CCTV와 라이다(LiDAR) 센서를 통해 야생동물을 감지하고, AI 가 이를 영상으로 인식하고 분석한 뒤, LED 전광판을 통해 운전자에게 실시간으로 위험을 경고한다.
이로써 도로 위에서 자주 발생하는 로드킬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포스코DX는 지난해 환경부, 국립공원공단, 국립생태원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경기도 양평군 국도 6호선과 오대산 국립공원 진고개 등 두 곳에 본 시스템을 시범 적용한 바 있다.
오대산 구간에는 라이다 전문기업 아이요봇의 라이다 센서도 도입돼 3D 기반 감시 체계가 구현됐다.
이번 시스템은 단순 탐지를 넘어 야생동물의 종류와 행동, 출현 시간 등을 AI가 학습해 출몰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도록 고도화됐다.
특히 환경부와 국토부가 발표한 ‘제3차 동물 찻길 사고 저감대책(2025~2027)’에도 본 시스템이 반영됐으며, 향후 강원 횡성과 전북 남원 등 총 3개 지역으로 확대 설치될 예정이다.
포스코DX는 AI 시스템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토대로 로드킬 사고 발생 가능성 예보 기능도 함께 적용하고, 보다 정밀한 판단이 가능한 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나갈 계획이다.
엄기용 포스코DX 경영지원실장은 “산업현장에 주로 적용해온 AI 기술을 활용해 생물다양성 보전과 운전자 보호를 지원할 수 있게 돼 의미 있게 생각한다”며 “시스템이 실질적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지속적인 고도화를 추진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배동현 (grace8366@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