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금값 급등에도 신중한 태도…12년째 보유량 유지

국제 금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향해 치솟고 있지만, 한국은행은 금 추가 매입에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외환보유액의 안전성과 유동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한은의 기조가 이어지면서 12년째 금 보유량을 유지하고 있다.
한은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한국은행은 2013년 20톤의 금을 추가 매입한 이후 현재까지 총 104.4톤의 금을 보유하고 있다.
매입 당시 가격으로 환산한 금 보유액은 지난달 말 기준 47억 9,000만 달러로, 전체 외환보유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2%에 불과하다.
이는 글로벌 중앙은행들의 적극적인 금 매입 행보와 대조적인 모습이다.
세계금위원회(WGC)에 따르면 지난해 각국 중앙은행은 총 1186톤의 금을 매입하며 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특히 4분기에는 333톤이 추가로 사들여졌다. 이는 중앙은행들이 안전자산으로서 금을 적극적으로 확보하는 경향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한은의 금 보유량 순위는 2013년 32위에서 지난해 말 38위로 여섯 계단 하락했다.
금값 상승으로 인해 국내에서도 골드바 품귀 현상이 벌어지고 있지만, 한은은 신중한 스탠스를 유지하며 금을 추가 매입하지 않고 있다.
한은이 금 매입에 보수적인 이유는 낮은 유동성 때문이다. 금은 주식이나 채권과 달리 즉시 현금화하기 어려워 외환보유액의 성격상 매력이 떨어진다고 평가된다.
최근 외환시장 변동성이 커지면서 원화 방어를 위한 시장 개입이 빈번해지는 상황에서 한은은 유동성을 더욱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다.
높은 가격 변동성도 주요 고려 요인 중 하나다. 금이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 여겨지지만, 단기적으로 급등락하는 특성이 있어 때때로 투기 자산으로 분류될 수 있다.
실제로 한은은 2011년부터 2013년까지 90톤의 금을 매입했으나, 이후 국제 금 가격이 급락하면서 보유 금액 평가손실 우려가 커졌다.
당시 2011년 온스당 1900달러에 육박했던 금값은 2015년 1000달러대로 떨어졌으며, 이 경험이 한은의 신중한 태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최근 일부 전문가들은 금값이 온스당 3000달러를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지만, 언제 하락세로 전환될지 예측하기 어렵다는 점도 한은이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는 이유 중 하나다.
수익성 문제도 금 매입을 주저하는 원인으로 꼽힌다. 금은 보유 자체만으로는 이자나 배당이 발생하지 않으며, 오히려 보관 비용이 추가적으로 들어간다. 이에 따라 장기적인 수익성을 고려할 때 금이 주식이나 채권에 비해 매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은 관계자는 “시장 여건을 주시하면서 중장기적 관점에서 금 추가 매입을 고려하고 있다는 기존 입장에는 변화가 없다”며 현재의 신중한 기조를 유지할 뜻을 밝혔다.
금값 이 계속 상승하고 있지만, 외환보유액 운용의 핵심인 안전성과 유동성을 감안하면 한은이 당분간 금 매입에 나설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다른 기사보기
전수인(su2nee@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