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월 25일(일)

“5월 2일 임시공휴일 될까?”…황금연휴 앞두고 논란 확산

달력
(사진출처-네이버 달력)

5월 초 황금연휴를 앞두고 5월 2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만약 5월 2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되면 최장 6일을 쉴 수 있어, 직장인과 학생들 사이에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한 찬반 논쟁도 뜨겁다.

올해 5월 초 연휴는 1일 근로자의 날(공무원과 교사를 제외한 직장인 대상 유급휴일), 3일 부처님오신날, 4일과 5일 주말, 6일 어린이날 대체공휴일로 구성돼 있다.

2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연차 없이도 6일 동안의 황금연휴가 완성된다.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벌써부터 기대감을 표출하는 의견들이 이어지고 있다.

일부 누리꾼들은 “올해 설에도 임시공휴일을 지정해줬는데, 이번에도 가능성이 높을 것 같다”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또한 “어차피 2일에 연차를 쓸 계획이었는데, 임시공휴일이 되면 한 개라도 아낄 수 있어 좋겠다”는 반응이 이어졌다.

반면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공무원과 일부 직장인들이 1일(근로자의 날)에 쉬지 않는 경우도 있어, 2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는 것이 형평성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

실제로 정부는 지난 1월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며 설 연휴 기간을 최장 6일로 늘렸지만, 내수 진작 효과보다는 해외여행 수요 증가로 이어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법무부에 따르면 올해 1월 내국인 출국자 수는 297만 명을 기록하며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 같은 전례를 고려할 때, 5월 2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내수 경기 활성화보다는 해외여행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교육계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5월 초는 대부분의 중고등학교에서 중간고사가 진행되는 시기여서, 갑작스러운 임시공휴일 지정이 학사 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이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한 학부모는 “5월 2일이 임시공휴일이 되면 학사 일정이 조정돼 학생들이 혼란을 겪을 가능성이 크다”며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기업 입장에서도 의견이 엇갈린다. 일부 대기업과 중견기업은 공휴일이 추가될 경우 근무 스케줄을 조정해야 하므로, 생산성과 업무 연속성 측면에서 부담이 커질 수 있다.

반면, 서비스업과 관광업계는 황금연휴 효과로 인한 매출 상승을 기대하고 있다.

특히, 제주도를 비롯한 국내 관광지에서는 5월 연휴 동안 예약이 폭증하고 있어 임시공휴일 지정이 여행객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한편, 정부는 아직 임시공휴일 지정 여부를 공식적으로 발표하지 않은 상태다.

대통령령 개정을 통해 공휴일을 지정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국가적 차원의 정책 조율이 필요한 사안인 만큼 신중한 검토가 이루어질 전망이다.

5월 2일 임시공휴일 지정에 대한 찬반 논란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황금연휴 확대를 기대하는 목소리와 함께 학사 일정, 기업 운영, 내수 경기 활성화 등의 여러 요인을 고려해야 하는 만큼, 정부의 결정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다른기사보기

이소율 (lsy@sabanamedia.com) 기사제보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