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후반 고용 쇼크…실업자도 늘었다

20대 후반 청년층의 취업자 수가 약 12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 한파가 장기화되고, 기업들의 경력직 채용 선호가 심화된 것이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14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올해 1분기 20대 후반(25∼29세) 취업자 수는 242만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9만8000명 감소했다.
이는 2013년 3분기(-10만3000명) 이후 가장 큰 폭의 감소다. 코로나19 확산으로 고용이 얼어붙었던 2020년보다도 큰 감소폭이다.
20대 후반은 학업과 군복무를 마친 이들이 본격적으로 사회에 진출하는 시기다.
기업의 신규채용 수요와 청년층 취업 의지가 만나는 구간이지만, 최근 고용 통계를 보면 이 시기의 취업자 수는 2023년 1분기부터 9개 분기 연속 감소세다.
특히 작년 3분기 4만4000명, 4분기 6만2000명에 이어 올해는 감소 폭이 10만명에 육박하며 하락세가 가팔라지고 있다.
고용 감소의 한 요인으로는 인구 자체의 감소도 있지만, 올해 1분기 20대 후반 인구는 6만9000명 줄어들었음에도 취업자는 그보다 많은 9만8000명 감소했다.
인구 감소 이상으로 고용시장 이탈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실업자 수는 1만3000명 증가했고, 실업률도 0.6%p 상승했다. 취업자나 구직자에 속하지 않는 비경제활동인구도 1만6000명 늘어나며 2021년 1분기 이후 처음으로 증가세로 돌아섰다. 이 가운데 ‘쉬었음’으로 분류된 인구가 1만8000명 증가해 청년층의 체념 심리를 반영했다.
산업별로는 제조업과 건설업의 부진이 고용 감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취업자는 전년 대비 11만2000명 감소하며 2020년 11월 이후 최대 폭으로 줄었고, 건설업 취업자는 18만5000명 급감해 관련 통계 집계 이후 최대 감소폭을 기록했다.
기업의 채용 트렌드 변화도 청년 고용 악화의 요인으로 꼽힌다.
신규 채용보다는 경력직 중심 채용을 선호하는 흐름이 지속되면서 사회 진입을 준비 중인 20대 후반 청년층이 상대적으로 불리해졌다는 분석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인구 구조적인 문제와 함께 기업들의 경력직 선호 현상이 심화하면서 20대 후반 청년들이 비경제활동인구에 머물거나 취업시장에 진입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배동현 (grace8366@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