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은행 잠재 부실 여신 8200억↑…건설업 부진 영향

지난해 주요 시중은행에서 잠재 부실 여신이 크게 늘어나면서 금융권에 경고등이 켜졌다. 경기 침체와 함께 기업들의 결손금이 누적되고 대출 연체가 증가하면서 여신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KB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등 4대 시중은행의 요주의 여신은 총 7조1115억 원으로 전년 말(6조9920억 원)보다 8230억 원 증가했다.
이로 인해 4대 은행의 전체 여신 중 요주의 여신 비율도 전년 0.47%에서 0.49%로 상승했다.
요주의 여신은 대출 원리금 상환이 1~90일 연체된 채권을 의미하며, 연체 기간이 90일을 넘으면 ‘고정이하(NPL)’ 여신으로 재분류된다.
요주의 여신의 증가는 잠재 부실 채권이 늘어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은행별로는 하나은행이 요주의 여신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하나은행의 요주의 여신은 전년 말 2조460억 원에서 지난해 말 2조4740억 원으로 20.9% 증가했다.
신한은행은 1조3310억 원에서 1조5070억 원으로 13.2%, 우리은행은 1조4960억 원에서 1조6890억 원으로 13% 각각 증가했다. KB국민은행은 1조4190억 원에서 1조4440억 원으로 소폭(1.8%) 늘어났다.
고정이하 여신도 전반적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4대 은행의 고정이하 여신은 지난해 말 기준 3조9490억 원으로 전년 말(3조3860억 원)보다 5630억 원 증가했다.
이에 따라 고정이하 여신 비율은 0.25%에서 0.27%로 올랐다.
금융당국은 특히 건설업종의 대출 부실을 우려하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기준 전체 은행의 기업 고정이하 여신비율 중 건설업종은 1.19%로 여전히 타 업종보다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건설업은 경기 둔화와 프로젝트파이낸싱(PF) 구조조정 등의 영향으로 대출 부실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한국은행은 금융안정보고서를 통해 “부동산 PF 구조조정의 진행 상황에 따라 건설업종의 대출 부실이 심화될 가능성이 있다”며 금융권의 주의를 당부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기업 누적결손금이 늘어 신용등급이 C등급 이하로 하락한 경우에도 요주의 여신으로 빼내 관리한다”며 “경기 침체 지속 및 실물 경제 악화로 잠재 부실이 증가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배동현 (grace8366@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