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글로벌 컨퍼런스, 국내외 기업 “AI 생태계 주도하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최로 25일 개최된 ‘AI 글로벌 컨퍼런스’ 는 AI 반도체부터 데이터센터, AI 생태계 조성 전략까지 다양한 이슈를 아우르며 국내외 AI 기업들의 기술과 전략이 한 자리에 모였다.
‘소버린 AI’와 같은 국가 단위 AI 주권 전략에서부터 필수 인프라인 데이터센터 구축까지, AI 시대를 대비한 다양한 논의가 이뤄졌다.
첫 발표를 맡은 엔비디아코리아 정소영 대표는 AI 반도체 성능을 매년 향상시키겠다는 계획과 함께, 개인용 슈퍼컴퓨터 ‘DGX 스파크’ 및 ‘DGX 스테이션’, 자율주행·로보틱스를 위한 프로그램 등 다양한 기술을 소개했다.
엔비디아가 AI 생태계의 중심에서 연구개발과 인프라 확산을 주도하겠다는 포부를 다시금 강조한 셈이다.
엔비디아의 경쟁사 AMD 역시 존재감을 드러냈다. AMD 키스 스트리어 수석 부사장은 화상 발표에서 “소버린 AI는 AI 기술 주권의 개념이며, 다수의 국가와 기업이 주체로 참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친환경 에너지와 공공 서비스 향상 같은 영역에서 AI 역량을 국가 정책의 일환으로 육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텔은 AI 반도체 ‘가우디’ 기반 기술력을 소개하며 한국 정부의 AI 인프라 프로젝트에 파트너로 참여하고 싶다는 뜻을 밝혔다.
문종민 인텔코리아 상무는 “AI 인프라는 GPU 개수뿐만 아니라 환경 영향과 비용 효율성까지 고려해야 한다”며 “인텔은 전 세계 15개 데이터센터를 친환경적으로 운영 중이며, 2030년까지 모든 에너지를 재생 가능 에너지로 전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국내 AI 반도체 스타트업들도 존재감을 드러냈다. 리벨리온의 김광정 사업총괄은 “AI 학습은 GPU에 맡기고, 우리는 추론 서비스에 최적화된 칩을 개발 중”이라며 “하드웨어뿐 아니라 소프트웨어 지원에도 적극 투자하고 있다”고 밝혔다.
퓨리오사AI의 백준호 대표는 “2세대 칩을 고객사에 샘플링 중이며, 일반 서버에서도 활용 가능한 고성능·저전력 AI 솔루션으로 시장에 진입할 준비를 마쳤다”고 전했다.
AI 모델 최적화를 추구하는 모레는 AMD MI250 GPU 600개를 활용한 초거대 AI 모델 훈련 사례를 공유하며 오픈소스 기반 기술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모레 조형근 상무는 “수천 개 GPU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묶는 것은 소프트웨어의 역할이며, 한국형 AI 생태계를 만드는 핵심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NHN클라우드는 광주 국가 AI 데이터센터의 핵심 인프라를 담당하고 있다고 밝혔다.
강민수 NHN클라우드 CIO는 “AI 데이터센터는 공랭식에 수랭식이 결합된 하이브리드 냉각 시스템이 필수”라며 “발열량과 전력 소모가 기존 데이터센터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고하중 바닥과 높은 층고 등 특수 설계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이번 AI 글로벌 컨퍼런스 는 AI 하드웨어뿐 아니라 AI 모델 설계, 소프트웨어 플랫폼, 데이터센터 운영까지 AI 생태계 전반을 조망할 수 있는 자리로 평가받았다.
참여 기업들은 한국이 AI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적 파트너라고 입을 모았다.
특히 정부의 규제 완화와 인프라 투자가 병행된다면, AI 기술 선도 국가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배동현 (grace8366@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