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 동물자유연대, 반려동물 구호 강화

LG유플러스 와 동물자유연대 가 재난 지역에서 구조된 반려동물을 위한 구호 활동을 마친 뒤, 향후 활동을 더욱 강화하기로 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조치는 제도권 밖에 놓인 반려동물 구호의 사각지대를 줄이기 위한 취지에서 나왔다.
양측은 지난달 23일부터 이달 4일까지 경남 산청군, 경북 의성군·영덕군·안동시 등 산불 피해 지역에서 구조된 개·고양이 등 반려동물 36마리를 대상으로 보호 활동을 전개했다.
구조된 동물들은 병원으로 이송됐으며, 특히 의성체육관 인근에 국내 최초로 반려동물 특화 구호소가 설치돼 돌봄 활동이 이뤄졌다.
기존 재난 대피소에는 반려동물 출입이 금지돼 있어, 갑작스러운 재난 시 반려동물 보호는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에 LG유플러스 임직원과 동물자유연대 활동가 외에도 교육협동조합 세움, 연암대학교 반려동물학과 학생들이 자원봉사자로 참여해 구호소를 운영했다.
첫 동물 특화 구호소 운영을 마친 뒤, 관계자들은 복기 과정을 통해 개선점을 모색하고 구호 시스템을 체계화하기로 했다.
각 지역 거점 동물병원과의 연계를 강화해 구조·치료의 즉시성을 확보하고, 활동가들을 대상으로 응급처치 교육을 실시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더불어 기후 환경에 따른 한계를 줄이기 위해 실내 구호소 운영도 각 지자체와 협의해 추진할 예정이다.
한편 LG유플러스는 지난해부터 동물자유연대, 각 지역 자원봉사센터, 연암대, 국제구호단체 등과 함께 재난 상황에서의 반려동물 구호 매뉴얼과 협의체를 구성해왔다.
이번 산불 피해 지역 구호 활동은 이러한 계획이 처음으로 실현된 사례다.
이명섭 LG유플러스 ESG추진팀장은 “갑작스러운 재난 상황에서 이재민과 함께 대피한 반려동물의 구호는 현재는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라며 “반려동물도 이재민들에게는 가족인 만큼 대피시 반려동물도 필요한 돌봄과 보호를 받을 수 있도록 앞으로도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조희경 동물자유연대 대표는 “반려동물을 위한 대피 공간이 존재하지 않아 이재민들이 함께 대피하지 못하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다”며 정책적 관심과 지원을 촉구했다.
배동현 (grace8366@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