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 에릭슨, 네트워크 슬라이스 품질 AI로 검증

LG유플러스 가 에릭슨 과 손잡고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네트워크 장애 예측 기술 시연에 성공하며 차세대 통신 인프라 고도화에 나섰다.
LG유플러스 는 23일 에릭슨 과 함께 AI·머신러닝(AI/ML) 기반 ‘네트워크 데이터 분석 기능(NWDAF, Network Data Analytics Function)’을 활용해 네트워크 장애를 예측하고 대응하는 기술을 시연했다고 밝혔다.
NWDAF는 국제이동통신표준화기구(3GPP) 표준 기반 장비로, 네트워크 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해 장애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고 자율적으로 대응 방안을 시행할 수 있도록 돕는 핵심 기술이다.
LG유플러스와 에릭슨은 이번 시연을 통해 네트워크 슬라이스 별 트래픽 과부하를 실시간으로 인지하고 예측·대응하는 기술력을 검증했다.
네트워크 슬라이싱은 하나의 물리적 네트워크를 여러 개의 가상 네트워크로 나눠 각각 독립적으로 운영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특정 사용자의 과도한 트래픽 발생 시 다른 사용자의 품질이 저하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LG유플러스와 에릭슨은 NWDAF 기술을 적용해 슬라이스 별 품질 저하를 사전 감지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기술을 구현했다.
특히 이번 시연에서는 네트워크 자동운영 기술의 가능성도 확인했다. AI 기반의 장애 예측과 조치가 결합될 경우 인간 운영자의 개입 없이 네트워크가 자율적으로 문제를 인지하고 대응할 수 있는 ‘완전 자동화’ 환경 구축이 가능해진다.
양사는 이와 함께 네트워크 사용 패턴 및 체감 품질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음성 품질 문제의 원인을 KPI(핵심 성과 지표)를 기준으로 분석하는 기술도 시연했다.
이를 통해 장애를 사전에 파악하고 예지적 유지보수가 가능한 네트워크 운용체계를 확보했다.
이상헌 LG유플러스 NW선행개발담당은 “이번 연구를 통해 고객의 불편 사항을 사전에 인지해 조치하는 운영 자동화 기술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고객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AI 기술을 네트워크 인프라에 적용하는 연구를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홍석원 에릭슨 CSS(Cloud Software & Services) 기술총괄(상무)은 “3GPP 규격 기반이며 네트워크 운용자동화 필수장비인 NWDAF의 네트워크 품질 분석, 예측 및 인사이트 제공 기술을 통해 5G 네트워크 고도화 및 고객 경험 개선에 기여하겠다”고 강조했다.
배동현 (grace8366@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