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CNS, 챗GPT 적용한 신한은행 AI 서비스 구축 완료

LG CNS 가 신한은행에 오픈AI의 챗GPT 기반 기업용 AI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구축하며, 금융권 생성형 AI 도입 확산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LG CNS 는 12일 신한은행 직원 지원을 위한 ‘생성형 AI 금융지식 Q&A 서비스’를 개발하고, 기존 키워드 검색 방식의 챗봇을 챗GPT와 검색증강생성(RAG) 기술로 고도화했다고 밝혔다.
이번 챗GPT 기반 AI 서비스는 신한은행의 10만 건 이상에 달하는 업무 지식과 상품 설명서 데이터를 바탕으로, 직원들이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통해 신한은행은 내부 업무 생산성과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LG CNS는 이번 구축 과정에서 복잡한 금융 문서 정보를 체계적으로 구조화하는 엔진을 개발하고, 검색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검색기를 설계했으며, 최신 금융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고 관리할 수 있는 비정형 데이터 관리 자동화 체계도 마련했다.
고객 서비스 부문에서도 챗GPT를 적극 도입했다. 신한은행의 대고객 서비스 ‘AI 브랜치’에서는 AI 은행원이 창구 업무를 대신 수행하며, 이번에 챗GPT를 적용해 더욱 자연스럽고 정확한 고객 응대가 가능해졌다.
AI 은행원은 입출금 계좌 및 체크카드 신규 발급, 외화 환전, 금융 상담 등 다양한 업무를 지원하며, 챗GPT로 강화된 대화형 기능을 통해 실제 행원처럼 세밀한 답변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 서비스는 올해 상반기 중 서소문 지점을 시작으로 점차 확대 적용될 계획이다.
보안 강화 역시 중요한 포인트다. LG CNS는 챗GPT 기반 생성형 AI 서비스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자체 개발한 ‘시큐엑스퍼(SecuXper) AI’ 솔루션을 적용했다.
이 솔루션은 생성형 AI 시스템에 입력되는 개인정보나 이상 행위를 실시간으로 탐지하고 차단해, 신한은행 직원 및 고객의 민감 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한다.
또한 외부 공격이나 비윤리적 질문에 대해서도 사전 차단 기능을 통해 서비스 안정성을 높였다.
김태훈 LG CNS AI클라우드사업부장(전무)은 “이번 서비스는 금융 AX 강자로 자리매김한 LG CNS의 기술 역량과 신한은행의 금융 업무 노하우를 결합한 성과”라며 “금융권 차세대 사업에 생성형 AI 도입이 확산되는 상황에서 LG CNS의 사업 경쟁력을 지속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배동현 (grace8366@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