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유심 대란 해소 위해 유심 재설정 서비스 제공

SK텔레콤은 오는 12일부터 실물 유심을 교체하지 않고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유심 재설정(유심포맷)’ 솔루션을 도입한다고 지난 11일 밝혔다.
이번 조치는 최근 대규모 유심 정보 유출 사태로 촉발된 유심 대란을 해소하기 위한 대응책으로 마련됐다.
유심 재설정 은 소프트웨어적으로 유심에 저장된 사용자 식별 및 인증 정보를 일부 변경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기존 유출된 유심 정보로 복제를 시도하더라도 시스템 접근이 차단된다.
유심 재설정 후에도 금융인증서, 티머니, 연락처 등 기존에 저장된 데이터는 그대로 유지되며, 별도의 금융기관 신규 인증도 필요하지 않아 사용자는 보다 간편하게 서비스를 이어갈 수 있다. 다만 삼성페이 이용자는 별도 재등록이 필요하다.
SKT는 유심 교체 대상자에게 발송된 문자메시지를 받은 고객을 대상으로 T월드 매장에서 유심 재설정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후 상황을 고려해 적용 대상을 순차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류정환 SKT 인프라전략기술센터 담당 부사장은 “망 시스템을 통한 유심 정보 재설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용자가 스스로 셀프 유심 재설정을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또한, 유심 재설정을 마친 고객이 추후 실물 유심으로 교체를 원하는 경우 1회에 한해 무료로 실물 유심 교체를 지원한다.
SKT는 유심 재고 물량 확보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12일부터는 예약 고객에게 구체적인 유심 교체 일정 안내를 본격화할 예정이다.
SKT에 따르면 이날 자정 기준으로 총 143만 명이 유심 교체를 완료했으며, 현재 남아 있는 예약 고객은 722만 명이다.
내달까지 추가로 확보될 유심 물량은 1077만 개에 이를 전망이다.
임봉호 SKT MNO사업부장은 “다음 주부터 유심 재고량이 부족해서 교체를 못 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SK그룹은 이번 해킹 사고를 계기로 그룹 전반의 보안 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정보보호 혁신위원회’를 구성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그룹 차원에서 통합 보안 시스템을 재정비하고 사고 재발 방지를 위한 근본 대책 마련에 나설 계획이다.
배동현 (grace8366@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