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피싱 주의… 카드 배송 사칭 피해 확산

최근 가짜 카드 배송을 내세운 기관 사칭형 보이스피싱 이 기승을 부리면서, 금융감독원이 소비자 경보 등급을 ‘주의’에서 ‘경고’로 상향 조정했다.
13일 금감원은 지난해 하반기 보이스피싱 피해액이 급증한 데 따른 조치라며, 금융 소비자들에게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실제로 보이스피싱 피해 규모는 지난해 9월 249억 원에서 10월 453억 원, 11월 614억 원, 12월 610억 원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특히, 가짜 카드 배송을 이용한 보이스피싱이 주요 수법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피해자의 약 80%가 여성, 그중에서도 60대 여성이 과반수를 차지했다.
서울의 경우 강남 3구에서 발생한 피해액이 서울 전체 피해액의 약 30%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기범들은 과거 문자 메시지를 활용한 카드 배송 사기를 시도했으나, 최근에는 문자 차단 대책이 강화되면서 직접 배송원을 가장하거나 위조된 실물카드를 피해자에게 보내는 방식으로 범행을 고도화하고 있다.
또한, 신청하지 않은 카드가 발급되었다고 피해자가 오인하게 만든 뒤, 가짜 고객센터로 유도해 개인정보를 빼내는 방식도 활용된다.
사기범들은 피해자가 가짜 고객센터에 전화를 걸면 개인정보 유출을 빌미로 악성 애플리케이션(앱) 설치를 유도한다.
이 앱은 원격 제어 기능을 활용해 피해자의 휴대전화를 조작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피해자가 공식 고객센터로 전화를 걸어도 사기범들에게 연결되도록 조작하는 기능까지 포함돼 있다.
검찰과 금융감독원을 사칭한 사기 역시 고도화되고 있다. 사기범들은 검찰을 사칭해 피해자에게 ‘사기 범죄 연루’ 및 ‘구속 수사 불가피’ 등을 협박한 뒤, 금감원 직원을 가장한 또 다른 사기범이 접근해 신뢰 관계를 형성하는 방식이다.
이들은 피해자에게 직접 자금을 이체하도록 유도하며, 금융회사의 본인 확인 절차나 거래 목적 확인 질문에 대비해 사전에 답변을 교육하는 등 치밀한 수법을 사용하고 있다.
금감원은 이에 다음과 같은 주의 사항을 발표했다.
▷ 본인이 신청하지 않은 카드 배송 연락을 받으면 카드사에 직접 확인할 것 ▷ 카드사 등 금융회사와 공공기관은 어떠한 경우에도 앱 설치를 요구하지 않음 ▷ 금감원·검찰 등 국가기관은 절대 직접 자금 이체를 요구하지 않음 ▷ 통신사의 AI 보이스피싱 탐지 서비스를 적극 활용할 것을 강조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범정부 태스크포스(TF)를 통해 관계부처와 긴밀히 공조하고, 보이스피싱의 근원적 차단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배동현 (grace8366@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