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월 04일(금)

강동구, 장애인 정책 종합계획 수립

강동구 장애인
장애인복지위원회 정기 회의 모습 (사진 출처-강동구 제공)

서울 강동구 가 ‘2025년 장애인정책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총 85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장애인 의 권익 보호와 사회참여 확대, 자립역량 강화를 위한 19개의 중점 과제를 본격 가동한다.

구는 구립 강동어울림복지관 운영, 장애인복지 민·관 협력 지원사업 활성화, 장애 인식개선 확대 운영 등을 포함한 다각적인 정책을 추진한다.

특히 중증장애인 활동지원 대상자에 대한 지원은 전액 구비로 추진되며, 올해 지원 대상을 확대해 총 36명을 지원한다.

장애인 일자리 사업도 대폭 확대돼 총 27억 원의 예산으로 171명의 참여자를 배치했다.

이는 민선 8기 초기인 2022년 대비 약 2배 이상 증가한 규모다.

지난해 11월 개관한 강동구 첫 구립 장애인복지관 ‘강동어울림복지관’도 핵심 거점 시설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연면적 4442.41㎡ 규모의 해당 복지관은 수중운동실, 재활운동실, 심리운동실, 요리활동실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장애인을 비롯한 지역 주민에게 폭넓은 프로그램을 제공 중이다.

강동구 는 올해 초 ‘장애인 복지위원회’ 정기 회의를 개최해 법률과 복지 전문가를 신규 위원으로 위촉하고, 사각지대 발굴 및 인식 개선 사업, 찾아가는 복지 서비스 확대 등을 논의했다.

구는 해당 위원회를 통해 복지 사업의 기획·조사·실시를 비롯해 장애인 인권 보호와 차별 금지 관련 사항도 적극 검토하고 있다.

한편, 강동구는 지난해 ‘장애인 일자리 카페’ 2곳을 신규 개소하고 관련 조례를 제정하는 등 장애인의 정보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기반도 마련했다.

이 같은 노력은 보건복지부 주관 ‘지자체 장애인복지사업 평가’에서 우수 지자체로 선정돼 장관상 수상이라는 성과로 이어졌다.

신숙 장애인복지과장은 “강동구는 장애인의 사회참여와 권익 보호를 위해 다각적인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장애인복지위원회 등 전문가와 지역사회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 복지정책이 실질적인 지원으로 닿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다른기사보기

배동현 (grace8366@sabanamedia.com) 기사제보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