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시, 철산·하안 재건축 본격화

광명시(시장 박승원)의 철산·하안 택지지구 재건축 사업이 2033년 준공을 목표로 순조롭게 추진되고 있다.
광명시 는 9일 정책브리핑을 통해 노후 공동주택이 밀집한 철산·하안 택지지구에 대해 선제적으로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하고, 체계적인 재건축 지원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광명시는 해당 사업을 통해 기존 14개 단지 2만6518세대를 6천 세대 증축해 약 3만2천여 세대로 확대할 계획이며, 약 7만9천 명의 시민이 거주할 수 있는 대규모 주거지로 탈바꿈시킬 예정이다.
오는 12월 정비구역 지정, 2027년 사업시행인가, 2028년 관리처분인가, 2030년 착공, 2033년 준공을 목표로 사업 일정을 단계적으로 진행할 방침이다.
핵심은 지난해 3월 수립된 철산주공12~13단지, 하안주공1~13단지를 포함한 철산·하안택지지구 지구단위계획이다.
보통 정밀안전진단 통과 후 수립하는 계획을 사전에 수립함으로써, 재건축 추진 기반을 조기에 마련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철산주공12~13단지는 2023년 1월, 하안주공1~12단지는 2024년 7월 정밀안전진단 승인을 받은 상태다.
광명시는 사업성이 낮은 중층 공동주택 중심의 단지를 효율적으로 개발하기 위해 통합개발 유도, 용도지역 상향, 용적률 확대 등을 지구단위계획에 포함했다.
특히 인접 단지를 묶어 4개의 특별계획구역으로 설정해 기반시설의 연계성을 강화하고, 효율적인 정비를 추진하고 있다.
또한 현행 제2종 일반주거지역을 제3종 일반주거지역으로 상향할 수 있도록 계획했으며, 기준용적률을 220%로 상향하고, 계획 이행 시 허용용적률 250%, 공공시설 제공 시 상한용적률을 최대 280%까지 적용할 수 있도록 했다.
장수명 주택, 친환경 건축물, 공공임대주택 등 공공성이 포함된 사업은 최대 330%까지 용적률을 허용한다.
도로, 공원, 학교 등 기반시설 외에도 행정복지센터, 문화·체육시설 등 지역필요시설 용지를 계획에 포함해 시민 편의도 확보했다.
민간재개발로 인한 개발이익의 14.8%는 공공기여로 환수해 편의시설 확보에 활용될 예정이다.
광명시는 건축물의 층수와 배치를 획일화하지 않고 유연한 설계를 도입해 경관 개선과 조망권 보호에도 주력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도심 스카이라인의 조화를 도모하고, 주민 생활환경을 전반적으로 개선한다는 방침이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이번 철산·하안택지지구 재건축 사업으로 노후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지역 주민들에게 쾌적한 삶의 질과 여유로운 휴식공간을 제공해 보다 안정적이고 살기 좋은 생활 기반이 조성되도록 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정비사업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다양한 행정·재정적 지원 방안을 마련하고, 주민 간 갈등은 최소화되도록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협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배동현 (grace8366@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