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7월 10일(목)

전남도 중증장애인 맞춤형 일자리 추진

중증장애인
장애인 권리증진을 위한 캠페인 활동 장면. (사진 출처 – 전남도 제공)

전남도가 중증장애인 의 자립과 사회참여를 적극 지원하기 위해 맞춤형 공공일자리 사업을 대폭 확대한다.

전남도는 18일, 올해 총 346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지난해보다 341개 증가한 총 3736개의 장애인 공공일자리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전남도의 맞춤형 공공일자리는 취업 취약계층인 중증장애인을 위한 정책으로, 장애인의 특성과 장애 유형에 맞는 일자리를 공공 분야 중심으로 지원한다.

이를 통해 중증장애인의 자립 생활을 돕고 소득을 보장하는 데 목적이 있다.

공공일자리 유형은 △장애인일자리 △중증장애인 동료상담 일자리 △전남형 권리중심 중증장애인 맞춤형 공공일자리로 구성된다.

이 중 장애인일자리와 중증장애인 동료상담 일자리는 국비 지원을 받는 반면, 전남형 권리중심 일자리는 전액 지방비로 운영된다.

가장 규모가 큰 장애인일자리 사업은 전일제, 시간제, 복지형, 시각장애인 안마사 파견, 발달장애인 요양보호사 보조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며, 도내 65개 제공기관에서 2713명이 참여하고 있다.

특히 2022년부터 시행된 ‘전남형 권리중심 최중증장애인 맞춤형 공공일자리’는 처음 82명에서 시작해 올해 120명까지 확대됐다.

이 사업은 전국 9개 광역지자체 중 유일하게 참여자 5명당 1명의 전담 지원 인력을 배치해, 전국 평균(10명당 1명) 대비 우수한 관리체계를 갖추고 있다.

전남도는 오는 10월 ‘제2회 장애인 일자리박람회’를 개최해 공공 부문 외에도 민간기업 일자리까지 연계할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배성진 전남도 장애인복지과장은 “올 10월 예정인 ‘제2회 장애인 일자리박람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해 공공 일자리뿐 아니라 민간기업에서도 장애인 일자리 발굴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배동현 (grace8366@sabanamedia.com) 기사제보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