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기 월경 장애, 정신건강 더 큰 영향

월경 관련 장애가 심한 여성일수록 우울 증상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이러한 경향은 청소년기 여성에게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17일, 2022년 실시된 ‘한국 여성의 생애주기별 성·생식건강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해당 연구는 대한의학회 공식 학술지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최신호에 게재됐다.
분석 대상은 국내 13세부터 55세까지의 여성 3088명으로, 월경통, 월경전증후군(PMS), 비정상 자궁출혈(AUB) 등 월경 관련 장애 경험과 우울 증상 간의 연관성을 평가했다.
이 중 91%가 한 가지 이상 월경장애를 경험한 적이 있었고, 57%는 중증 증상을 경험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중증 월경장애를 경험한 여성은 그렇지 않은 여성에 비해 우울감을 느낄 위험이 크게 높았다.
구체적으로 월경통은 1.6배, 월경전증후군은 2배, 비정상 자궁출혈은 1.4배 더 높은 우울감 위험을 보였다.
중증 증상을 여러 개 경험할수록 위험은 더 높아졌다. 증상 1개는 1.6배, 2개는 2배, 3개 이상은 2.1배의 위험을 나타냈다.
특히 청소년기 여성은 성인 여성보다 더욱 취약했다. 청소년의 경우 중증 월경장애가 단 1개만 있어도 우울감 위험이 1.8배 높았고, 3개 이상일 경우 2.8배까지 급증했다.
반면 성인 여성은 동일 조건에서 1.9배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월경장애가 단순한 생리적 현상이나 불편함을 넘어 정신건강에 직결될 수 있는 중요한 건강 이슈임을 강조한 것이다.
박현영 국립보건연구원장은 “월경 관련 증상을 단순한 생리적 불편이 아니라 여성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주요 건강문제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면서 “여성건강연구사업을 통해 성·생식건강 현황과 주요 건강 이슈를 파악하기 위한 전국 단위 조사를 지속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배동현 (grace8366@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