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월 21일(월)

개인정보위 과징금 정당…구글·메타 소송 패소

구글과 메타
(사진 출처-Freefik)

글로벌 빅테크 기업 구글과 메타 가 우리나라 개인정보 보호위원회(이하 개인정보위)의 과징금 처분이 부당하다며 제기한 소송에서 1심 법원이 개인정보위의 손을 들어줬다.

서울행정법원 행정2부(부장판사 고은설)는 23일 구글과 메타가 개인정보위를 상대로 제기한 시정명령 등 처분 취소 청구 소송에서 각각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고 판결했다.

재판부는 “구글과 메타는 개인정보 보호법에 따라 이용자로부터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를 받아야 할 의무가 있다”며 “이들이 개인정보 수집 사실을 명확히 알리지 않았으며, 이러한 조치만으로 동의를 받은 것으로 볼 수 없다”고 지적했다.

또한 “개인정보 수집 방식이 복잡하고 은밀하게 이루어져 이용자들이 이를 인지하기 어려운 만큼, 개인정보위의 처분은 적법하며 재량권을 일탈하거나 남용한 것으로 볼 수 없다”고 판시했다.

이번 소송은 개인정보위가 2022년 구글과 메타 에 부과한 총 1000억 원 규모의 과징금과 관련해 시작됐다.

당시 개인정보위는 두 기업이 이용자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수집해 온라인 맞춤형 광고에 활용한 행위를 개인정보보호법 위반으로 판단하고, 구글에 692억 원, 메타에 308억 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또한 이용자가 개인정보 수집 사실을 명확히 인지하고 동의할 수 있도록 시정명령을 내렸다.

개인정보위는 구글이 서비스 가입 시 이용자의 웹사이트 방문 기록을 명확히 고지하지 않았으며, 기본 설정을 ‘동의’로 사전 지정한 점을 문제 삼았다.

메타 역시 계정 생성 시 개인정보 수집 내용을 이해하기 어렵게 제시해 이용자들이 명확한 동의 절차를 거치지 않았다고 판단했다.

이에 구글과 메타는 과징금 처분에 불복해 행정소송을 제기하며 “개인정보 수집에 대한 동의는 웹사이트 및 앱 서비스 제공자가 받아야 하는 것이지 플랫폼 사업자인 자신들이 책임질 문제가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또한 이들은 “개인정보 처리 방침을 충분히 고지했으며 동의 절차도 적법하게 진행됐다”고 강조했지만, 법원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다른기사보기

배동현 (grace8366@sabanamedia.com) 기사제보

답글 남기기